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맞았어. 10%라는 말은 대략 100번에 10번 꼴로 사건이 일어난다는 말이지.우철 : 아~! 그러면 100번 중 10번은 비가 오고, 90번은 비가 안 온다는 말이죠?아빠 : 평균적으로 그렇다는 말이란다. 비가 올 확률이 10%라는 말은 반대로 비가 안 올 확률이 90%라는 뜻이기도 하지.우철 : 그럼 내일 비가 올 확률이 90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뚫고 길을 내면 광집적회로가되고, 이 빛을 한쪽으로 유도하면 레이저가 된다. 박 교수는 100nm~200nm 크기의 미세한 기둥을 세운 광결정에 빛을 발생시키고 증폭시키는 실험에 성공해 1μm의 ‘초미니 레이저’를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그런데 최근 공명기의 크기가 레이저광의 파장보다 작아질 수 ...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시공간을 휘는 데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고, 물질의 양자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100kg 정도의 물질 정보를 전송하는 데 3억 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1997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 연구팀이 광자의 양자정보를 1m 떨어진 곳에 전송한 뒤, 똑같은 광자를 만들어내는 데 최초로 성공하긴 ...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지름은 5μm로 동일하다. 이 교수는 “빛이 침투할 수 있는 물체는 크기 0.1~100μm, 금속은 5~100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빛은 일반적으로 금속을 침투하지 못하지만 아주 얕은 깊이까지는 가능하다. 따라서 물체의 크기가 현저히 작다면 금속도 포획이 가능하다.LCD 화면을 ... ...
- 내면의 조율사, 언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자신의 문제가 정리되겠냐’며 의구심을 품는다. 하지만 상담을 진행하다 보면 거의 100% 이렇게 얘기하는 걸 듣게 된다.“얘기를 하면서 정말 나 자신을 다른 각도로 보게 됐다. 그리고 문제가 정리되는 걸 느낀다. 어느 순간에는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 단계에 이르게 되는 것도 정말 놀라운 경험이다 ... ...
- 물의 힘으로 벽에 착~!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발바닥에 촘촘하게 난 털 끝(①)에서 나오는 액체의 표면장력을 이용해 자기 무게보다 100배가 넘는 힘으로 나뭇잎에 달라붙을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해 두 개의 평평한 판에 0.0003㎜의 구멍 1000개를 뚫은 뒤(②), 두 판을 서로 붙였어요. 바닥에는 물통을 담은 판을 붙이고, 이 장치에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눈에서 정보를 많이 얻기 때문에 눈의 모양이 인상을 좌우하기도 한다. 눈의 가로를 100이라고 했을 때 한국인 눈의 세로 길이는 최대 36이다. 이 숫자가 크면 클수록 눈이 동그랗고 귀여운 느낌을 준다. 한국인 평균은 26.5인데, 이보다 작은 긴 눈은 어른스러운 인상을 준다.비법 전수 ➋오감을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난쟁이 ‘나노스’에서 가져왔다.나노는 마이크로보다 1000분의 1만큼 작고, 밀리보다는 100만 배나 작다. 머리카락 1가닥의 크기가 0.1밀리미터라고 하니 1나노 크기의 물질을 10만 개나 늘어놓아야 머리카락 1가닥 크기가 된다. 나노가 얼마나 작은지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같다. 5를 나타내는 칸에 돌 2개가 있으므로 5와 5를 더해서 10의 자리에 셈 돌을 올린다. 100의 자리에는 셈돌 7개가 있으므로 그 중 5개를 1개로 바꿔 500의 자리에 올린다. 그러면 500의 자리에 3개가 생기므로 2개를 1개로 바꿔 1000의 자리로 올린다. 인도-아라비아 십진법이 수 세계를 평정하다지금 ...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만나 유도방출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희박하다고 봤다. 실제로 원자는 들뜬상태에 100만 분의 1초 이하로 지극히 짧게 머물러 광자가 유도방출을 일으키도록 타이밍이 맞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유도방출에 의해 광증폭이 일어나려면 들뜬상태의 원자들이 낮은 에너지 준위의 원자들보다 수가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