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반물질은 거대한 가속기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반물질이 물질과 만나면 막대한
에너지
를 내면서 사라져버린다. 이런 까닭에 소설에서 반물질 폭탄이 등장한 것.그렇다면 실제로 CERN은 반물질 폭탄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아이마 소장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소설에서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아킬레스건을 비롯해 다리의 힘줄 배치를 보면 스프링 역할을 해 매번 발을 뻗을 때마다
에너지
의 절반을 비축해 다음 번에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인간의 통통한 엉덩이 모양을 만들어주는 큰볼기근은 걸을 때는 가만히 있지만 달릴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들은 “장거리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천천히 지상으로 낙하한다방사성 동위원소는 반감기, 방출하는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
가 각기 다르므로 이것들을 방사선 검출기로 측정함으로써 그 종류와 양을 알 수 있다호르몬 및 생체활성물질(生體活性物質) 등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호르몬의 경우 방사성 물질로 표지된 호르몬과 표지되지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단맛을 내기 위해 액상과당을 많이 사용한다. 문제는 여기 있다.체내에서는 모든
에너지
원이 단당류인 포도당으로 바뀐다. 단당류는 쉽게 말해 당이 이미 쪼개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체내에 들어오면 바로 흡수된다. TEF가 따로 필요하지 않다.반면 다당류는 당이 여러 개 붙어 있기 때문에 체내에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즉 엄밀하게 제어된 화학 반응을 통해 얻은 화학
에너지
또는 빛
에너지
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만 톱니바퀴가 회전하게 디자인된 것이다. 이처럼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톱니바퀴를 래칫(ratchet)이라고 한다.한편 분자톱니바퀴의 경우에는 한개의 분자가 기계의 기능을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빨아 먹는다. ‘체외소화’ 라는 이 과정을 통해 거미는 매우 짧은 시간에 대단히 많은
에너지
를 효과적으로 섭취하게 된다.연구팀은 거미의 몸에서 분비되는 소화액 외에도 우리 몸안의 장내미생물들처럼 소화기관에 살고 있는 공생미생물이 만드는 소화액은 없는지를 탐색했다. 거미 몸 안을 ... ...
'풍력' 세계 전력수요 충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네덜란드 유트레트대 윔 터켄버그 교수팀은 과학전문지 ‘
에너지
경제학’ 최근호에 “사아디아라비아 크기의 ‘풍력 발전단지’ 가 있으면 세계에 필요한 전기를 모두 공급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터켄버그 교수는 “대신 전기값이 2배로 뛸 것”이라는 제한을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오른쪽 아래 면으로 반사돼 나오는데, 입사각을 변화시키다보면 특정한 각도에서 빛
에너지
가 금박막에 흡수돼 반사광의 세기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그런데 금박막 위의 후각수용체분자가 냄새분자와 결합하면, 반사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특정 입사각의 각도가 변한다. 따라서 이를 측정해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소모되는 것이었다. 세포는 이 효소뿐 아니라 수명을 다한 단백질을 분해할 때 귀중한
에너지
를 사용한다. 당시 허쉬코 박사는 이 호기심이 30여년 후 노벨화학상을 안겨줄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2004년 노벨화학상은 허쉬코 박사(67)를 비롯해 이스라엘의 아론 시카노버 박사(57), 미국의 어윈 로즈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C60, 즉 풀러렌 등 역시 전자를 잘 잡아두는 분자들을 적절히 배열시켜 전극에 연결하면
에너지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김교수팀은 포피린을 좌우상하로 반복배열할 경우 좀더 효율적으로 빛을 흡수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또 포피린을 일렬로 배열시켜 효율이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