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10대의 약] 아무 진통제나 먹지 마세요. 생리통 약도 증상 따라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성분과 용량에 따라 하루에 복용할 수 있는 최대량과 복용 간격이 정해져 있습니다. 또
사람
마다 진통 효과가 잘 나타나는 성분이 다릅니다. 이부프로펜 성분의 약을 복용했을 때는 진통 효과가 없다가 나프록센 성분을 복용하면 효과가 좋은 경우도 있으니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성분을 알아두는 ... ...
버스 공공 와이파이로 BTS 뮤비 틀어보니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LTE 신호를 보내는 기지국과 버스의 거리가 가까워졌기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대개
사람
이 밀집한 구역에 기지국이 더 촘촘히 설치돼있다. 공단 지역은 인적이 드물기 때문에 기지국끼리 거리가 멀어 기지국과 가까워지면 신호가 강해지고, 멀어지면 신호가 약해지는 차이가 시내보다 ... ...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처음에는 당황했어요. 어느 학생이 저를 소개한 걸까 궁금하기도 했고요. 서은이일 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아직 본 지 한 달밖에 되지 않았으니까요. 짧 ... 과학을 재밌게 공부해나갔으면 좋겠다”며 “과학을 통해
사람
들을 기쁘게 할 수 있는
사람
으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답할 수도 하나씩 커진다는 사실을 쉽게 추론하는데, 인공지능은
사람
처럼 규칙을 찾고 일반화하지 못 했던 것입니다.이번 연구 결과는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4월 2일 게재됐습니다. ...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히로나카는 이 짧은 순간 중대한 변화를 겪게 된다. 자신이 선생님이라고 불릴 만한
사람
인지 스스로 질문을 던지게 된 것이다. 책을 읽고 고급 이론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선생님’이 될 자격이 없다고 느낀 그는 아무리 형편없는 논문일지라도 자신의 것을 창조해야겠다고 결심하고 논문을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끌며 달리는 장면을 기억하나요? 순록은 뒤에서 쫓아오는 굶주린 늑대들을 피해 두
사람
이 탄 썰매를 안간힘을 다해 끕니다. 그 순간, 크리스토프가 중심을 잃고 썰매에서 떨어져 매달려 가게 됩니다. 늑대들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크리스토프의 신발을 물고 늘어지지요. 이때 늑대들이 질질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이런 게 장애물이 됩니다. 영화에서는 자연이 극복해야 할 역경이라면, 소설에서는
사람
사이의 갈등이 그렇습니다.영화와 소설 모두 충분히 권할 만한 SF입니다. 영미권 SF소설과 할리우드의 SF영화에만 익숙하다면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겁니다. 다양성이란 좋은 것이죠. 고호관. ...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생태 발자국 소비량이 748%로 나타나 세계 19위라는 부끄러운 순위를 기록했다. 전 세계
사람
들이 모두 한국인처럼 산다면 지구가 3.5개 필요하다. 글로벌풋프린트네트워크는 매년 1년간 생태용량을 모두 써버린 시점을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Earth Overshoot day)’로 지정해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마네…. 지금도 많은
사람
에게 기쁨을 안겨주는 이 화가들의 그림에 큰 도움을 준
사람
이 있어요. 바로 미국의 화가 존 고프 랜드예요.존 고프 랜드는 그림을 그릴 때 물감이 쉽게 마른다는 점이 불만이었어요. 당시 화가들은 동물의 방광에 물감을 넣었어요. 이 주머니를 찔러 물감을 짜냈는데, 한 ... ...
뒤죽박죽 실험실에서, 별난 원소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달리 뱃속에서 녹지 않고 그대로 밖으로 배출됐어요. 그래서 안티모니 알약을 먹은
사람
들은 자신이 눈 똥에서 알약을 주워 씻어서 다시 사용했지요. 안티모니 알약은 정말 귀한 약이었거든요. 이것이 안티모니 알약이 ‘영원한 알약’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유랍니다. 심지어 어떤 가족은 대를 이어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