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1988년 담뱃값 인상 관련 법안인 ‘법안 99’로 흡연자를 절반 이상 줄인 뒤, 2012년 ‘법안 29’를 새로 기획했다. 그 기획안에는 추가로 상승된 세수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안이 정확히 적혀 있었다. 추가 세수의 60%는 연구 투자, 20%는 금연사업 시행, 15%는 관련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현실인양 으쓱으쓱 기분이 좋아진다. 그런데 이런 시도들이 기분을 좋게 해주는 것 이상으로,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까?장밋빛 미래에 취한 이들이 저지르는 실수결론부터 말하자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학의 캠퍼스에 직접 방문해 그곳에 꼭 가고 싶다는 ‘동기부여’가 됐다고 가정해보자. 그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상도에 쓰인 숫자는 격자의 수를 나타내는데, 모니터의 해상도 숫자가 모두 1000 이상이 되는 현재의 모니터에 비하면 격자의 수는 적고 그만큼 격자하나의 크기가 매우 컸어요. 따라서 둥글게 표현되어야 할 아이템이나 캐릭터들은 마치 모자이크를 한 것처럼 네모난 모양을 하고 있었지요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낳기도 했다. 그 동안 지구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지금까지 지구에서는 5차례 이상 크고 작은 대멸종이 일어났다. 그 중 최악은 약 2억 5000만 년 전,고생대 마지막인 페름기에서 백악기 시작인 트라이아스기로 넘어갈 때 일어난 대멸종이다. 이때는 지구 생물의 약 96%가 사라졌다. ... ...
- [News & Issue]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교하고 강한 레이저를 얻는 장치로 길이가 1110m에 이른다. 기존 3세대에 비해 100억 배 이상 밝은 빛을 얻을 수 있어 원자나 분자의 3차원 결합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기술과 신소재 개발, 세포와 단백질 구조 분석,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 표면 및 계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 ...
- [News & Issue]GM연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은 이번이 세계에서 처음입니다. GM연어는 우리가 흔히 먹는 대서양 연어보다 2배 이상 빨리 자랍니다. 때문에 사료도 절반밖에 들지 않는다고 합니다.연어의 유전자를 바꿨다고 하니, 크리스퍼(CRISPR) 같이 요즘 유행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사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 독자 분도 있을 텐데요, ... ...
- [News & Issue]동면하는 영장류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 결과 12월부터 2월까지 최대 63시간 동안 겨울잠을 잔다는 것을 알아냈다. 통상 24시간 이상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동면 상태라고 본다.과학자들은 그동안 마다가스카르 섬의 특별한 환경이 겨울잠을 유도한다고 추정해 왔다. 이번 연구는 그 가정을 뒤집는 결과다. 루프 교수는 ... ...
- [News & Issue]왜소행성 세레스, 혜성처럼 행동한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NASA)의 던(Dawn) 탐사선은 2015년 3월 세레스에서 주위보다 밝게 빛나는 부분을 130군데 이상 발견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이 밝은 부분을 분석한 결과 ‘소금기가 있는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같은 해 12월 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물질 구성으로 봤을 때 세레스는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도구는 빛을 켠 시점과 유전자조작 뉴런이 반응해 신호를 만드는 시점이 수 초에서 1분 이상 차이가 났다. 실제 뉴런이 자극에 반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수백 분의 1초라는 것을 감안하면 무척 느린 속도다.실험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사람은 앞서 말한 다이서로스 교수다.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나고야대 모리시마 구니히로 교수는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원자로 노심의 핵연료가 70% 이상 녹아내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2015년 9월 일본물리학회에서 발표했다. 그밖에도 전세계 중성미자 검출기를 이용해 핵물질을 제조할 때 나오는 중성미자를 감시하자는 의견 등 원자력 안전에 입자물리학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