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결과, 사용자의 심박수를 6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었고, 기억 장치의 길이를 20%씩 1000회 이상 늘였다 줄였다를 반복해도 문제없이 작동했답니다.김대형 교수는 “사람들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크기를 늘리면 아주 무거워져요.실제 지금 운행되는 470kg 정도의 초소형 전기차에는 100kg 이상의 배터리가 들어 있어요. 1회 충전으로 최대 서울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거리인 100km까지 이동할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충전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고, 효율은 지금보다 2배 높은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시즌3]‘순대렐라’의 유리구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힘껏 순대렐라에게 유리구두를 신겨 보려 했지만 맞지 않았다.그러고 보니 이름도 좀 이상했다.“아까 성함이 뭐라고 하셨죠? 신데렐라…?”“네? 전 신데렐라가 아니라 순대렐라라구요. 신데렐라 옆집에서 분식집을 운영하고 있어요.”결국 이날 썰렁홈즈는 밤새 진짜 신데렐라를 다시 찾아나서야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웹 오브 사이언스’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록된 논문 12만 건 이상의 인용 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위 1%에 속하는 과학자는 총 3126명이었다. 한국인 연구자들은 총 19명으로, 가장 많은 연구자가 포함된 분야는 약리학및독성학 분야다. 이은성(가톨릭대)·박광식(동덕여대)·박태관(KAIST ... ...
- [News & Issue] ‘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과학동아 l2016년 02호
- 991년 알프스에서 발견된 5300년 전 신석기인 미라 ‘외치’의 위장에서 현대인의 절반 이상이 가지고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세균이 발견됐다. 이탈리아의 유럽아카데미 미라 및 아이스맨 연구소(EURAC)는 외치의 장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 1월 7일자에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계속 할 것”이라고 전했다.우리나라도 120번 이상의 원소를 발견하기 위해 중이온가속기를 대전에 건설하고 있다. 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은 2009년부터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인 ‘라온(RAON)’ 건설을 시작했다. 2021년 완공이 목표다. 권 팀장은 “모리타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만5145쪽에 달하는 소설과, 수백 장의 삽화가 집안을 가득 채우고 있었던 것이다.반세기 이상 세상과 단절하고 살았던 망자의 방은 불운했던 예술가의 상상력이 보존된 비밀스러운 공간이었다.그가 남긴 소설의 제목은 ‘비현실 왕국의 비비안 소녀들 이야기 혹은 어린이 노예 반란으로 인한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핵무기로 2차 세계 대전을 끝낸 미국은 전쟁 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핵무기를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이념으로 서방과 갈라선 구 소련과 중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 ...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에게 검시 경험을 들어봤다. “법의학자에게 수중시체는 도전”수중시체를 500구 이상 검시한 김 교수도 수중시체라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물속이 육상보다 부패속도는 느리지만, 대개 수중시체는 더디 발견되죠. 부패가 심해 가족도 가까이 다가가기 힘들 정도로 겉모습이 끔찍하게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다. 끝없이 사람의 애정을 갈구하는 개와 달리 야생동물처럼 독립적이기 때문. 그런데 이상하다. 인간의 사랑을 듬뿍 받는데, 왜 아직도 야생의 습관을 간직하고 있는 걸까. 고양이가 보여주는 야생성과 사회성, 그 猫(묘)한 줄타기의 매력을 파헤쳐 본다.고양이의 눈동자를 잘 관찰해보자. 세로로 ... ...
이전369370371372373374375376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