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셀룰로오스는 물과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김
교수
는 “전기 대신 주변 환경이 갖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소프트로봇 분야에 접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소프트로봇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doi:10.1126/sciadv.aao705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1 정도(0.08 메가픽셀)였지만, 바이퍼는 화질을 4배 가까이 끌어 올렸다(0.3 메가픽셀). 김
교수
는 “열 감지 적외선 카메라인 점을 감안했을 때, 사람을 구분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우버에 적외선 카메라가 달려 있었다면 최근 사고와 같은 동일한 상황에서 위험이 절반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술 중 하나는 통신 보안 기술이다. 쿠르트 롤로프 미국 뉴저지공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팀은 여러 사람이 인터넷전화(VoIP)로 통신회의를 할 때 통신 메시지를 동형암호로 암호화시켜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해 2016년 12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행하는 보안 분야 학술지(IEEE Transactionson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마음의 위치에 대해서 논의 했어요. 2000년, 미국 브라운대학교 철학과 김재권 명예
교수
는 마음에 위치가 없다면 다른 사람과 내 마음을 구별할 방법이 없다며 마음도 위치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답니다. 과연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요 ... ...
[과학뉴스] 저지방&저열량 식단이 ‘젊은 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식이요법과 열량 제한을 병행한 경우에만 염증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에겐
교수
는 “저지방 식단이나 운동만으로는 염증을 막지 못한다”고 밝혔다. doi:10.3389/fnmol.2018.0006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Virtual Love)’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뇌 과학적인 과정으로 표현했다”고 말했다. 그의 꿈은 뇌 인지과학자다. 화학과
교수
인 아버지와 컴퓨터공학자인 어머니의 영향을 고루 받았다. “엄마가 지금의 제 나이쯤 됐을 때 컴퓨터를 이용해서 음악을 만드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고요. 그런데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존재할 수 없다. 만약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땅이 거의 없다. 고
교수
는 “학문적인 호기심 차원에서는 충분히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서 “특히 청소년과 일반 대중에게 물리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알맞은 소재”라고 밝혔다 ... ...
과학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킬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교수
, 김홍종 서울대 수학과
교수
등이 연사로 나선다. 좌장은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가 맡을 예정이다. 열린연단 강연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은 홈페이지(openlectures.naver.com)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강연 영상과 강연 원고 전문은 홈페이지 및 모바일을 통해 동시에 볼 수 있다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수식이 실제 현상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와인
교수
는 “여러 성분이 섞인 액체를 분리하거나 결정의 핵이 형성되는 과정 등 상변화 현상을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데 마요네즈 효과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최근 필자가 속한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팀에서는 주로 전기자동차의 전지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에 분자 도르래를 적용해 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습니다. 현재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은 흑연인데요. 흑연 대신 실리콘을 사용하면 약 5배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