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뜻입니다. 이런 HOTAIR 유전자의 특성은 암 연구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앞서 소개한 창 교수팀은 유방암세포 중 33%가 정상 유방세포보다 HOTAIR를 125배 더 많이 발현시킨다는 데 주목했습니다.doi: 10.1038/nature08975 HOTAIR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을수록 암이 전이 될 가능성도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인과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빨라지는 것은 물론, 실제 상황을 그대로 옮긴 것 같은 색감을 구현할 수 있다. 정 교수는 “유기 반도체는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 무인 이동체가 더 정밀한 눈을 갖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존의 전자기기가 유기 반도체로 세대교체가 이뤄진다면, 환경과 인체에 치명적인 유기 용매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없답니다. 나머지는 새 화강암 2000여 개로 복원했지요. 이 때문에 명지대학교 유홍준 교수는 “20세기 한국 문화재 복원 최악의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답니다. “동탑이 서탑의 모습을 본땄다면서 왜 두 탑의 높이가 다른가요?” 친구들의 질문에 연구사님은 복원과 보수의 차이에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가 살고 있는 건물을 미세먼지 사냥꾼으로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거짓말이 아니야. 정말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도시에 ‘세워진’ 숲?식물은 잎에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서 미세먼지를 잡을 수 있어요. 식물은 기공을 통해 체내의 수분을 대기 중으로 내보내는 ‘증산작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학부(물리학)를 마치고, 앤아버 소재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브라이언 콘래드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케임브리지대학, 킹스칼리지 런던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고등과학원 수학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랭글랜즈 ... ...
-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기다리던 봄 소풍은 2차원과 4차원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클라인 병 놀이공원’으로 떠난대. 4차원을 느낄 수 있다니 대단하지 않아? 클라인 병 롤러코스터는 얼마나 아찔할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 ...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는 착각의 방으로 들어섰어. 입구부터 유리로 만든 클라인 병 3개가 겹쳐 있는 예술작품이 있었어. 신기하게 바라보고 있는데, 누군가 우리에게 질문했어. 이게 진짜인지 가짜인지 묻는 거야. 당황스러운 질문에 말문이 막히고 말았지. ‘이 예술작품이 진품인지 가품인지 가리라는 건가? 아 ... ...
- Intro. 시험장에서 쫓겨난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당장 나가랍니다. 저희가 이 세계에 있던 세월이 얼마인데, 이렇게 내칠 수 있는 건가요?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우리가 밀려나는 신세가 될 거라곤 상상도 못했습니다. 우리는 기하입니다. 우리 기하 외에도 시험지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실생활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수학을 만나보시죠. ▼관련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습니다. ‘프랙털 아티스트’로 활동 중인 박보석 한성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규칙이 있는 프랙털에 매료돼 프랙털 예술을 시작했습니다. 같은 모습을 반복해서 만들어내는 나뭇가지처럼 자연의 모습을 프랙털 작품으로 만들어 내기도 하고, 프랙털과 상관없는 ... ...
- [과학뉴스] 우리 은하 중심부에 블랙홀 1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정밀하게 계산해, 주변에 약 1만 개의 작은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헤일리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수를 알면, 블랙홀이 충돌하고 합쳐질 때 발생하는 중력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doi:10.1038/nature2502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