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정관념 속에서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사실은 곡선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은 모두 곡선이었다. 세상은 굽어 있었으며, 사람이 만드는 물건도 하나둘 구부러지고 있다. 고정관념을 떨치고 만들어질 구부러진 미래의 모습이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전자에 자기장을 걸면 전류가 흐른다. 전압은 전류 방향 또는 전류의 수직 방향으로 모두 잴 수 있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수직으로 잰 전압과 전류를 간단한 수식에 넣어서 계산한 값은 띄엄띄엄 정수로 나타난다. 이 값을 ‘홀 전도도’라고 하며, 이 현상을 ‘양자홀 효과’라고 한다.여기서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재밌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게임 회사에 다닐수록 보람을 찾기 힘들었다.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었지만, 게임 제작은 결국 유료 고객을 유치해야 하는 일이었다. 청소년의 용돈을 빼앗아 가는 기분이 들었다.이후 박 대표는 게임 회사를 나와 대기업 연구소에서 일하게 됐다. 그런데…,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크게 혼이 났어요. 어쩌겠어요. 저의 넘치는 호기심과 타고난 손재주를 탓해야겠죠.모두의 안전을 지켜주세요10월 8일 토요일 오후 3시 기자가 찾은 서울의 한 라쿤 카페는 시끌시끌한 시장 골목을 방불케 했다. 카페 안에는 이미 100여 명의 사람들이 여러 마리의 라쿤, 개들과 섞여 있었다. 20분을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런 유전자가 어떻게 정착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할데인, 1955년, 40쪽, 강조는 모두 필자).왜 이리 ‘작은 개체군’이 자주 나온담? 할데인이 이 글을 쓴 목적은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자연 선택됐었는지 밝히는 일반 이론을 제안하기 위함이 결코 아니었다. 할데인은 그저 작은 개체군이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만나볼 기회다. ‘정복하지 않은 사람들’의 어느 구절에 어떤 반전이 숨겨져 있는지는, 모두의 발견하는 기쁨을 위해 아껴둔다.지난달 ‘스티븐 와인버그의 세상을 설명하는 과학’의 발간 소식을 듣고 괜한 친근감을 느꼈다. e메일로나마 생각과 경험을 주고받았던 과학자의 신간이기 때문이다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투표 참여자와 홈페이지에서 댓글로 투표해 준 50여 명의 친구들을 합쳐모두 908명이 투표에 참여했죠.그 결과 블롭피시가 908표 중 243표를 받으며 압도적으로 멸종위기 못친 대표가 됐어요. 블롭피시에 이어서 187표를 받은 나무늘보가 2등을, 116표를 받은 맹꽁이가 3등을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물의 단단한 부분뿐만 아니라 공룡의 발자국이나 지렁이가 기어간 자국 같은 흔적도 모두 화석이지요. 화석은 과거에 어떤 생물이 살았고 당시 환경은 어떠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가득한 보물이랍니다.그런데 실제로 보물이 된 화석이 있어요. 바로 ‘호박화석’이지요. 호박은 소나무와 같은 ... ...
- INTRO. 구부러진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것이 굽어보이기 시작했다. 눈을 비비고 다시 쳐다봐도 마찬가지다. 뭐라고? 세상은 사실 모두 곡선이라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교과서에서 배웠던 것과는 다르게 생각해야 한다.학교에서 배우는 곡선과 관련된 문제는 모두 ‘유클리드 기하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가 만든 수학 분야다. 최초로 기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고, 2000년 이상 유일한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