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플라스틱, 알루미늄, 콘크리트 등 기술화석(technofossils)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물질이 퇴적층에 쌓이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기후 변화가 발생해 해수면의 높이도 크게 상승했으며, 탄소, 질소, 인 순환에 변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인류세로 지정해야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기지 시설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식량을 장기간 공급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외부와 공기가 차단된 ‘식물 공장’이 강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Mission1 식물로 순환하라네덜란드의 민간 기업이 추진 중인 화성 탐사 프로젝트 ‘마스 원(Mars One)’에서는 일찍부터 화성에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비행기가 앞으로 나가려는 힘을 말해요. 종이비행기가 멀리까지 날아가려면 던지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힘도 세야 돼요. 그래서 존 콜린스는 미식축구 선수 출신인 조 아유브와 함께 18개월 동안 던지는 훈련을 한 뒤, 있는 힘껏 비행기를 날렸어요. 그 결과 세계기록을 세울 수 있었지요.종이비행기를 ... ...
- [과학뉴스] 블로토 게임이론, 95년 만에 풀리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승리할 지 계산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메릴랜드대 모하마드 하지아가이 교수는 “현재 기술 검증까지 마친 상태”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전략법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약점은.김 왜 잘 되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모르는 것?한 경험적으로 만들어진 기술이기 때문에 내부가 어떻게 생겼는지 아직은 이해할 수가 없다.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학습된 모델이 무슨 짓을 할지 아무도 모른다. 터미네이터에 나온 ‘스카이넷’이 출연하지 못할 법도 없다.김 그래도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표기할 수 있으므로 매우 다양한 난수로 이뤄진 수열이 생긴다.이같은 양자난수 기술은 정말 예측이 불가능한 난수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러면 정보시대에 꼭 필요한 ‘완벽한 보안’을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안심할 수 있도록 귀중한 데이터와 개인 정보를 지켜주는 것은 바로 뭐가 나올지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1950년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스왁’이라는 초창기 디지털 컴퓨터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 ...
- [과학뉴스] 그래핀 위에선 전자도 물처럼 흐른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재료․ 기술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그래핀 표면 위에서 전자가 마치 액체처럼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이언스’ 2월 11일자에 발표했다.그래핀은 원자 한 층 두께의 2차원 탄소 물질로, 전기전도성이 실리콘의 100배에 이르고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뛰어나다. 하지만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정부에 제출했다. 바로 라이고 프로젝트의 초안이다. NSF는 이미 십수 년간 간섭계 기술에 대한 믿음이 있었고, 그 가능성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큰 규모의 연방예산 승인은 NSF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고, 학계의 반대도 거셌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필립 앤더슨까지 나서 “만약 아인슈타인을 ... ...
- [수학뉴스]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vs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뇌 속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모방해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이를 통해 알파고는 지금까지 있었던 프로 바둑 기사들의 대결을 학습하고, 스스로 새로운 전략을 찾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구글에 따르면 알파고는 3000만 가지의 수를 학습했다고 합니다.이것을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