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대학 교수와 인터뷰를 준비할 때 연구실 홈페이지는 꼭 방문해 본다. 그 사람에 대해 그만큼 잘 정리된 정보처도 없기 때문이다. 이창하 UNIST ... 하는
기술
을 완성하면 낮에는 자연광으로도 정수처리를 할 수 있다”며 “나노
기술
을 잘 활용하면 수처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별로 나이가 들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파악한답니다.김익재 박사는 “3차원 몽타주
기술
을 미아 찾기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어요.유전자로 그리는 몽타주작년 6월, 홍콩 거리의 전광판에는 몇 명의 몽타주가 공개됐어요. 3D로 그려진 얼굴 아래엔 담배꽁초나 휴지 등이 그려져 있었지요. 이 ...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16가지 장 독소를 한 번에 진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증폭시키는
기술
을 이용해 지금까지 하루 이상 걸리던 검사를 수 시간 내로 단축시켰다. 식중독을 초기에 규명해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트는 특허로 등록돼 지역 보건환경연구원이나 대학 등에서 ... ...
[과학뉴스]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실 형태의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임정아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 선임연구원팀은 옷감처럼 접었다 펼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19일자에 발표했다.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핵심 ...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창간 85주년을 맞는 유서 깊은 아동 분야 학술지. 과학
기술
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소아과학, 아동건강 분야 학술지 중 가장 높은 피인용지수(IF)를 자랑한다. 최근 5년 IF는 4.152로 높은 편에 속한다.주로 아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요인을 다룬 연구가 실린다. 아동학대에 대한 유명한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
기술
식물의 독특한 잎맥 특성을 파악해 종을 감별해낼 수 있는 인공지능이 나왔다.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피터 월프 교수팀은 식물 수천 종의 잎맥을 분석해 종 간의 특징을 찾아내는 컴퓨터 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7일자에 발표했다.식물의 잎과 잎맥의 ...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 있다”며 “더 복잡한 시스템도 빛으로 조종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이
기술
을 발전시키면 사람의 몸속에 넣어 조종할 수 있는 치료용 로봇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가져올 파장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마련이 시급하다.인공지능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기술
윤리도 정립해야 한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이 진행되면서 해설가는 여러 번 “알파고가 실수를 한 것 같다”며 고개를 갸우뚱했다. 그러나 결과는 알파고의 승리였다. 실수가 아니라 인간보다 훨씬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사건들의 우주는 ‘관계론적인 우주’다. 모든 성질은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통해
기술
된다(애덤 프랭크 저 ‘시간 연대기’ 中).한 때 과학자들은 열을 ‘칼로릭’이라 불리는 실체라고 생각했다. 이제 우리는 열이 입자들의 운동이라는 걸 알고 있다. 열은 실재하지만, 더 근본적인 수준으로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장치 제작의 정밀도가 뛰어나 자기장 오차가 매우 낮다. 덕분에 난류를 제어하는
기술
을 매우 정교하게 실험할 수 있다. KSTAR에는 난류의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진단장치가 적용됐다. 모든 연구들이 그렇지만 핵융합 연구는 도전과 실패가 반복되는 지난한 과정의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