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타나는데 이 정도를 전기전도도라고 부른다. 이 전기전도도의 역수에 해당하는 값을
물질
의 비저항이라 부른다.키르히호프의 법칙제1법칙(접합점법칙) : 회로상의 한 교차점으로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이 교차점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 전하가 소멸하지도 생성되지도 않는다는 전하량 ... ...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빠르게 진행돼 중력 가속도가 점점 작아진다. 이는 지구 내부 안쪽 영역으로 진입할수록
물질
의 밀도가 높아서, 질량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2) 지구 내부 어떤 지점에서의 압력이란, 그 지점보다 바깥쪽 영역의 물체가 단위 면적에 가하는 무게를 의미한다. 이때 물체의 무게는 질량과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고체로 된 구동부가 없는 ‘켐봇’을 고안하기도 했다. 켐봇은 전기가 흐르면 수축하는
물질
인 유전탄성체를 이용해 만든 로봇으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모양을 바꿀 수 있다.게임처럼 변한 전쟁로봇의 활약이 커지면서 전쟁의 양상도 바뀌었다. 가장 큰 변화는 병사들이 직접 전장에 가지 않고도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겉에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
이 발라져 있는 종류가 있습니다. 비가 충분히 내려 이
물질
이 씻겨 나가야 발아가 시작되죠. 어린 식물은 수분이 충분히 공급돼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죠.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경우는 일정 시간 낮은 온도에 노출된 뒤라야 발아하는 씨앗이 많습니다. 가을에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원자재인 만큼 정부가 관심을 갖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기술로는 헬륨을 대체할
물질
을 개발하거나 우주에 널린 헬륨을 지구로 가져올 방법이 없다.먼저 세계의 헬륨 매장량을 정밀하게 조사해 경제성 있는 천연가스전을 공동으로 개발해야 한다. 헬륨을 공급받는 곳도 미국만이 아니라 ... ...
새가슴 선수 강심장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대한 적개심을 높이거나 종교적 신념을 이용해 불안한 마음을 없애기도 했다. 술과 환각
물질
을 먹는 등불안을 없애는 방법은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그렇다면 스포츠는 어떨까. 심리학적으로 스포츠의 핵은 ‘경쟁’이다. 스포츠심리학은 극한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사용했던 인류의 불안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용해 대표적인 화합물반도체 중 하나인 질화인듐갈륨을 성장시켰다.
물질
내 인듐과 갈륨의 상대적 비율을 조절해 자색, 청색 및 녹색의 발광파장을 갖는 고품위의 질화물반도체 에피층을 성장시켜 LED소자를 제작하는 연구를 했다.LED소자를 제작할 때 질화인듐갈륨층과 질화갈륨층을 수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뜨겁게 달궈진 물체가 빛을 내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형광등은 자외선이 형광
물질
을 통과하며 가시광선으로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반해 LED는 반도체 재료에 전기 에너지를 가했을 때 생성되는 전자-정공 쌍이 소멸하면서 원래의 전기에너지 대신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질을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온도의 변화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반응
물질
이나 생성
물질
의 농도를 크게 하면 반응은 그
물질
의 농도를 감소시키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반대로 농도를 작게 하면 반응은 농도가 증가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반응계의 온도를 높이면 반응은 온도가 낮아지려는(흡열 반응) 쪽으로 진행되고,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무해하고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우리는 앞으로 매운 맛을 내는
물질
도 개발할 예정이다. 고추장과 고춧가루, 김치가 절대 빠질 수 없는 한국 식품에서 매운 맛은 단연 중요하다. 그런데 매운 맛은 기본 맛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자극으로 인해 톡 쏘는 느낌은 세포에게 통증으로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