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행성인지 정확히 알 수 있다. 별빛가림 현상으로 행성을 발견하면 행성의 대기를 이루는
물질
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먼저 초대형망원경과 고성능 분광기를 이용해 해당 별을 분광 관측한다. 여기서 나온 관측 결과 중에서별과 행성이 둘다 보일 때와 행성이 별 뒤로 숨어서 보이지 않을 때의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환경에 알맞게 만든 인공 박테리아를 쓸 가능성이 높다. 테라포밍하려는 행성에 풍부한
물질
을 먹이로 삼아 번식하는 박테리아, 행성 고유의 광물에서 건축 재료로 쓸 금속을 뽑아 내는 박테리아 같은 맞춤형 미생물이 외계행성에 착한 인류의 첨병이 될 것이다.정착하려는 행성이 화성처럼 대기가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쏘거나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온을 얻는 기존의 방법은 기체에만 적용할 수 있어 고분자
물질
인 단백질에 쓸 수 없다. 게다가 단백질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이온화 과정에서 분자가 파괴되기 쉽다. 1980년대 후반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이온화 기술이 등장했다.1987년 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명예교수이자 영양 생화학자인 저자는 40년 이상 다이어트와 암, 심장질환, 화학 독성
물질
, 영양소의 역할과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 또 중국의 2400개가 넘는 지역에서 식생활과 암, 사망률 사이의 관계와 다이어트요법이 영양과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다(중국 프로젝트). 중국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국 하버드대 분자및생물학과 벤카테쉬 머피 교수는 “향기는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한
물질
이라서 향기를 이용해서는 냄새를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탄생한 분야인 광유전학을 적용했다. 빛에 반응하는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9월호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참고)이 표층
물질
에 작용하는 중력과 평형을 이뤄
물질
의 하강을 막아 태양의 크기를 유지한다. 만일 이 균형이 깨지면 항성의 크기가 증가 혹은 감소하고 차이가 심한 경우 폭발한다. 이러한 과정은 항성의 질량에 의해 진행된다. Q. 생각해 봅시다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쓴맛
물질
에는 T2R4가 반응한다. 어떤 쓴맛 수용체가 반응하든지 세포는 입안에 쓴
물질
이 들어 있다는 정보를 뇌로 보내면 임무 끝이다.연구자들은 각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될 때 만들어지는 전령RNA(mRNA)의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DNA 단일가닥을 탐침으로 써서 위의 가설을 검증했다. 예를 들어 미뢰의 ... ...
[생물]
물질
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루비스코는 오직 CO2와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로는 CO2를 고정해 최초로 생산하는
물질
이 4탄소 화합물이므로 이러한 식물을 C4식물이라고 한다. 이외의 식물들은 캘빈 회로를 통해 CO2를 고정시키고 첫번째 화합물이 3탄소 화합물이므로 C3식물이라고 한다. C4식물에서는 C3식물과 달리 엽육 세포로 CO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CFC보단 덜하지만 역시 오존층을 파괴한다. 그래서 1992년 제6회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규제
물질
로 포함됐다. HFC는 오존층을 파괴하지는 않지만 이산화탄소에 비해 수백 내지는 수만 배의 온실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양성자 같은 고에너지 입자는 기체 분자를 이온화시켜 대기 중의 오존을 파괴하는 화학
물질
을 생성한다. 실제로 1982년의 태양 양성자 사건 때에는 오존 밀도가 일시적으로 70% 감소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양의 해로운 태양 자외선이 지표면에 도달한다.남는 전기 보내고 위험 시엔 아예 전력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