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 없다. 어떤 식으로든 우리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행동하게 만든 유전자가 보다 많은 자
손
을 남기게 해주었기에 ‘도덕유전자’가 지금도 우리의 양심을 괴롭히고 있는 것이다.새로운 윤리기준을 마련하는 일을 두려워할 이유는 없다. 새 포도주는 마땅히 새 병에 담아야 한다. 과학의 발달이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국가의 발전을 위해 무얼 해야 할까?”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유향숙 박사(53)가 중학교 시절 친구들과 함께 고민했던 내용이다. 유 박사와 그녀의 친구 ... 즉 한국인의 난치병을 치료하는 신약의 밑바탕을 제공하고, 생명공학자를 꿈꾸는 청소년에게
손
에 잡히는 비전을 선사할 것이다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받아야 했던 기억을 연구원들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하지만 결국 우리
손
으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제 로켓 KSR-Ⅲ는 성공적으로 비행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우주발사체의 독자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들과 관련 산업체의 ... ...
청소년 등뼈가 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감싸 머리 쪽으로 잡아 올리는 무릎 구부려 가슴대기 운동이다. 등을 대고 누운 후 두
손
을 이용해 무릎이 가슴에 닿도록 구부리고 멈춘다. 셋째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자세에서 윗몸을 30˚ 정도 일으켜 멈추는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이다. 넷째 무릎을 펴고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굽히는 운동이다.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안타깝게도 어린 여동생 헬레는 높이 나는 것이 무서웠던지 양의 등을 붙잡고 있던
손
을 놓치고 말았다. 혼자 남은 오빠 프릭수스는 황금양을 타고 무사히 흑해 동쪽 해안에 도착했다. 거기서 프릭수스는 감사의 뜻으로 황금양을 최고의 신 제우스에게 바쳤고, 제우스는 양의 공로를 높이 사 하늘에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주위에 중력파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원리적으로는 우리가 헤어질 때
손
을 흔들어도 중력파는 방출된다. 이런 현상은 마치 우리가 고요한 연못에 돌을 던졌을 때 원형의 물결이 퍼져나가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중력파의 성질은 전자기파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파원으로부터 에너지를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퍼즐 맞추기 하듯 컴퓨터 상에서 조립하고 시험도 했다.T-50 개발의 가장 큰 의미는 우리
손
으로 우리 고유모델의 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했다는 점이다. 이로써 앞으로 국내에서 개발되는 어떠한 무장이나 한국공군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우리 자력으로 항공기를 개량할 수 있다. 진정한 자주국방의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부착해
손
으로 흔들어 소리를 낼 수 있는 핸드벨로 먼저 연습을 했다. 한소리 양이
손
에 들고 있는 핸드벨이 바로 중세 종치기들이 교회 탑에 걸린 종을 치기 위해 연습하던 종이다. 핸드벨로 연습을 마친 종치기들은 해시계나 물시계, 또는 천체 관측기구에서 시간이 측정되면 교회 탑에 올라가 종을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흔적을 남기기 위해서였다. 보수하는 사람에겐 보수 흔적을 남겨 이 문화재가 훼
손
됐던 것임을 후대에 알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금속에 생긴 녹은 꼭 닦아내지 않아도 된다. 국보 92호 고려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을 보면 표면 가득 녹이 끼어 있다. 그러나 그 푸른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예상된다.수용체를 비롯한 막단백질 연구는 신약 개발과 직접 연관된 분야이므로 우리
손
으로 우리 체질에 맞는 신약개발을 위해서라도 막단백질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