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존 성공비결은 네트워크 판촉전략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경제를 안정시키는 중요한 일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주식시장에는 보이지 않는
손
이 있다국가간 무역처럼 눈에 보이는 거래뿐 아니라 금융 네트워크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연결망도 존재한다. 그 대표적인 예를 증권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우리나라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주식이 대표주로 ... ...
지구 수호자에서 이웃집 청년까지, 슈퍼영웅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생각했다. 그러나 이 예측은 빗나갔다. 아이들은 나이를 먹어 코 밑에 수염이 자라도
손
에서 만화책을 놓지 않았던 것이다.자연스럽게 새로운 창작가들이 생겨났고, 그들은 훌쩍 커버린 독자의 눈 높이에 어울리는 만화를 그리게 됐다. 우리 세대와 함께 만화 역시 성장한 것이다.전쟁과 인간의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DNA를 짧은 시간 안에 대량으로 증폭해 분리하거나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나
손
쉽게 DNA 연구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을 열었고, 생명공학의 폭발적인 발전에 기폭제가 됐다. 인간게놈프로젝트 역시 PCR이 없었더라면 꿈도 꾸지 못할 계획이었다.지난 200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선충의 유전체 연구를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것이다. 사실 대뇌피질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손
을 관할하는 부위인데 그만큼
손
가락의 움직임은 상당히 정교한 정보처리를 요구한다. 피부를 자극하는 스킨십 역시 두뇌발달에 큰 도움이 된다. 피부는 태내에서 뇌와 같이 외배엽에서 나와 발달하므로 사실 뇌의 형제라 할 수 있으며 이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DNA의 비밀 해독에 몰두하고 있을 무렵, 유전자의 실체는 안개 속의 희미한 물체처럼
손
만 내밀면 잡힐 듯 지척에 다가와 있었다. 1910년 미국의 유전학자 모건은 초파리 돌연변이 연구를 통해 유전자가 염색체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1924년에는 염색체가 단백질과 핵산(DNA, RNA)으로 이뤄져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아인슈타인도 장 교수와 비슷한 아픔을 겪었다. 대학 3학년 때 실험실에서 사고를 내고
손
에 상처를 입었다. 이 때문에 10바늘을 꿰매야 했다. 그 다음부터 아인슈타인이 이론을 하게 됐다고 장 교수가 설명해줬다.“그렇다면 생명에는 언제부터 관심을 갖게 됐습니까?”“박사논문이 완성될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배합한 것 물에 반죽하면 가소성을 일으키므로 반죽한 것을 용광로의 내부벽이나 파
손
된 부분에 밀어넣고 단단히 발라서 노의 응급 수리에 쓴다 가속도는 단위시간당 속도변화의 비율을 나타낸다 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이므로 가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량이 된다 운동하고 있는 ... ...
② 시험관에서 이뤄지는 DNA 진화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재조합과정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만들고, 자연환경이라는 선택과정을 통해 적합한 자
손
만을 번성시키는 자연계의 진화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이다.유전자 진화기술은 1994년 윌리엄 스티머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됐다. 스티머는 생물의 유성생식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전체 재조합 원리를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MyoD의 대타이며 완충 작용제인 셈이다.이처럼 한 체계 내부의 동적 평형은 한 구성원이
손
상돼도 다른 구성원의 변조로 인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모듈의 이런 안정성은 전체 구성원의 네트워크나 상호작용 등을 통해 실현된다.생명의 다양성과 학문 위계구조 추구이처럼 이보디보는 발생생물학과 ... ...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MMU가 있었다면 어땠을까. 현재 사고의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왼쪽날개의
손
상부위가 있는 우주왕복선의 아랫부분까지 이동해 사고의 심각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고, 최악의 우주사고를 막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챌린저호의 사고로 비행의 날개를 접은 MMU가 이번 컬럼비아호의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