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554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끼와 강아지를 합쳤더니
팝뉴스
l
2018.12.07
네티즌들은 강아지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말한다. 즉 ‘토끼 얼굴을 가진 강아지’가
정확
한 묘사라는 것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시도해서 만든 합성 이미지인데,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다. 사진 속 동물은 토끼나 강아지보다 두배 더 귀엽다는 게 지배적인 평이다. ※ 편집자주 ... ...
원호섭 매일경제신문 기자 생명과학보도賞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원호섭 매일경제신문 과학기술부 기자(사진)가 6일 생화학분자생물학회가 주관한 `올해의 생명과학보도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생화 ... "생명과학과 관련한 여러 이슈들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며 "국민 눈높이에서 생명과학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확
한 정보 전달에 노력했다"고 밝혔다.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강원도 정선 지하 1100m에 보다
정확
도를 높인 새로운 지하 관측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더
정확
하게 암흑물질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성이 다른(질량이 작은) 암흑물질 탐색에도 나설 계획이다. ... ...
양파 썰기의 달인
팝뉴스
l
2018.12.05
사진 속 요리사 여성이 양파 수 백 개를 썰었다고 본다. 요리사는 또한 양파를
정확
하게 같은 크기로 썰었다. 보통 사람은 엄두도 낼 수 없는 인내심과 칼질 솜씨를 가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사진은 미국의 한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 공개되어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여성 요리사는 ... ...
"나라면 샤워 안한다" 샤워기 헤드에 박테리아 득실
과학동아
l
2018.12.05
연구원은 “지리적 요건, 소독제, 배관 등 많은 부분이 박테리아 생성에 관여한다”며 “
정확
한 원인을 분석해 이를 토대로 관리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8 / mBio.01614-18 ... ...
갈라파고스 핀타섬 마지막 코끼리거북 '외로운 조지', 장수비밀 밝힐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이달 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학 및 진화’에 발표했다. 조지가 숨질 당시
정확
한 나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100살은 넘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그와 같은 아종의 최대 수명은 200살이다. 거대거북은 평균 80~120년 산다. 연구진은 핀타섬의 코끼리거북과 인도양에 유일하게 ... ...
韓 독자개발 첫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A호’ 5일 발사
2018.12.04
빨라졌다”며 “관측한 영상을 거의 실시간으로 지상에 내려 보낼 수 있게 돼 각종 예보
정확
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천리안 2A호를 활용하면 태풍의 경로는 물론이고 강도, 지역별 예상 강우량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기존에 천리안 1호에서 얻은 ... ...
새로운 중력파 4건 추가 검출…중력파 천문학 시대 활짝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높아질 전망이다. 김정리 교수도 “예를 들어 중성자별 쌍성 병합이 또 관측된다면 더
정확
히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이를 통해 빛 등 후속 관측에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른 방식의 관측시설을 지어 라이고와 비르고, 카그라가 보지 못하는 아주 큰 블랙홀 등을 관측할 수도 있다. ... ...
'방사선 어디서 나오나' 3차원 영상 확인시스템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분포를 거리까지
정확
히 확인하게 돼 미래의 원자력연구소 제염 해체 등의 작업을 할 때
정확
도를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남호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기기연구부장팀은 투과력이 강한 고에너지 전자기파인 감마선 센서를 이용해 방사선의 분포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정보 등이 포함됐다. 지난 4월 공개된 지도는 2016년 발표된 지도보다 별의 위치가 더
정확
하고 광범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우리 은하계에 있는 별의 개수를 1000억~4000억 개로 추정하고 있다. ESA는 가이아 위성의 자료를 바탕으로 오는 2020년에 마지막 은하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