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습"(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것들을 여쭈어 볼까요?물통에 나오는 빠나나 박사는 이 교수님인가요?또 다른 나의 모습이라고 생각해요. 만화 세계에서 해골과 함께 놀러 다니면 정말 재미있어요. 만화는 나만의 상상 공간이지요.해골은 왜 팬티 입는 것을 자꾸 잊어버리나요?해골이 팬티를 벗어버린다는 설정이 재미있으니까요. ...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은하수와 빠르게 떨어지는 유성도 보였다.주변을 둘러보니 처음 만났을 때 뽀얗던 모습은 사라지고 하나같이 새카맣게 그을려 현지인 못지 않았다. 열대바다가 남긴 강렬한 흔적이 열대해양체험단의 진로와 인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벌써 기대된다 ... ...
-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숫자를 말해야 한다.마술을 할 때 긴장감을 살리려면 방을 폐쇄할 때마다 고민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틀린 답을 말했다가 재빨리 수정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이번 마술의 비밀은 홀짝성! 처음부터 끝까지 마술사가 용의자의 위치를 조종할 수 있지. 범인이 이 사실을 안다고 해도, 마술사가 ... ...
- 제3회 국립과천과학관 국제SF영상축제(GISF)과학동아 l2012년 10호
- SF만큼 좋은 소재도 없다. 부모 시대의 태권V에서 자녀 시대에는 트랜스포머로 캐릭터의 모습은 바뀌었다. 하지만 자녀와 함께 종이 로봇을 만들다보면 어느덧 함께 이야기하고 있는 ‘우리’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광장에 전시돼 있는 폐품으로 만든 로봇과 함께 사진도 찍어 추억을 남겨 보자 ... ...
- 무한 변신의 나라, 키자니아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알아보자!이렇게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다니, 과학자는 정말 멋진 직업 같아!응. 또 다른 모습으로 변신해 볼까? 여기는 ‘키자니아’, 어떤 직업이든 경험할 수 있지. 과학자는 물론이고 PD, 승무원, 미용사, 판사 등 여러 직업인으로 변신할 수 있다고!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초등학생 853명을 ...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알록달록 손톱에 10가지 색의 매니큐어를 바른 멋쟁이 학생이 들어 왔다. 꿈을 물었더니 아직 없다고 했다. “하고 싶은 것이 너무 많아서 정하지 ... 않다. 요즘은 대학에서 인성도 중요한 요소로 평가한다. 면접이나 서류에서 그런 모습이 나올 수밖에 없다. 억지로 가리는 것은 한계가 있다 ...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받는 발그레한 얼굴의 수줍어 하는 청소년 기자들을 만날 수 있었죠. 하지만 수줍은 모습도 잠시, 과학잡지가 만들어지는 법과 기사 쓰는 요령에 대해 편집장님이 설명을 시작하자 펜과 수첩을 꺼내 뭔가를 적기 시작했습니다. 역시 과학동아 청소년기자는 뭔가 다르죠? 편집장님은 “앞으로도 ... ...
- 수학동아 열혈독자를 만나다! 2013 최연소 서울과학고 합격생 정재훈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전국 각지의 수학·과학 영재들이 모인다는 서울과학고에 14살의 나이로 합격한 수학동아 열혈독자가 있다. 수학과 가수 아이유를 좋아하는 평범한 중학생이라고 자 ... 노력한 만큼 성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도, 흔들림 없이 자신의 꿈을 위해 나아가는 재훈이의 모습에 박수를 보냅니다 ...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수학에서는 이렇게 거울에 비춘 도형의 움직임을 ‘반사’라고 한다. 반사 된 물체의 모습은 왼쪽이 오른쪽으로, 오른쪽이 왼쪽으로 돼 물체가 뒤집어진 것과 같다. 즉, 거울을 통해 비춰진 물체는 앞뒤가 바뀐 셈이 된다. 반사는 회전, 대칭과 더불어 기하학에서 도형을 다루는 중요한성질이다.한편 ...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우리를 끓여먹는 걸 좋아해요과학자들도 너희를 좋아한다고?바위에 단단하게 붙어 있는 모습이 매력적이래요. 우리는 일단 바위에 붙어 있으면 아무리 강한 파도가 쳐도 휩쓸리지 않아요. 그 비결은 바로 본드처럼 끈끈한 접착 단백질 덕분이에요. 우리가 분비하는 접착단백질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