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느끼기 힘들었다. 빛에 비춰보니 위조가 어렵다는 율곡 이이의 숨은 초상도 당당히
모습
을 드러냈다. ‘위조’라 찍힌 큼지막한 도장이 없었다면 꼼짝없이 진짜로 믿을 판이다. 일련번호 중간에 낀 ‘77246’이란 숫자만 없었다면 말이다.“획수나 폰트 때문에 숫자보다 글자를 바꾸는 게 더 ... ...
“고등학교 화학실험에서 화학자의 길 찾았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일어난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고 말했다.강연 시간 내내 학생들은 진지한
모습
이었다. 강연이 끝나고 소감을 묻자 남궁한(한성과고 1학년) 학생은 “시간이 짧았던 게 아쉬웠고, 노벨상 수상자를 직접 볼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콘버그 교수는 강연을 들은 300명의 학생에게 모두 친필 ... ...
내 몸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빠르게 성숙하며 남들의 시선에 가장 민감하면서도 가장 신경 쓰지 않는 모순적인
모습
을 보인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세상에서 본인이 가장 옳고 멋지다고 생각하는 반면 한쪽으로는 ‘보잘것없는 나를 알아주지도 않는 더러운 세상!’ 같은 대사를 내뱉는다.나중에 되돌아 보면 부끄러워질 ... ...
베이징인과 야쿠자의 추억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아직 정확한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확실하다고 생각했던 베이징인의
모습
은 그 원본 화석만큼이나 수수께끼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어떤 생각도 절대적인 진리가 될 수는 없나 봅니다.미궁에 빠진 원본 화석마지막으로 일본인 기자가 쫓던 베이징인 화석 원본이 어떻게 됐을지 ... ...
베올리아 환경·야생 사진 공모전 2012 - 야생동물의 하루를 따라가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쉽게 접할 수 없는 야생동물의 삶은 왠지 신비롭다.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
일부를 엿본 것만으로도 설레는 맘을 감출 수 없다. 그러나 보이는 것과 달리 이들의 삶은 치열하다. 먹고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은 누구나 똑같다.올해 ‘베올리아 환경·야생 사진 공모전 2012’에도 동물의 삶을 한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시뮬레이션 한 자기장의 역전과정
모습
. 위쪽이 안정된 자기장이고 아래쪽이 역전 중인
모습
이다. 역전 중일 때는 자북극과 자남극이 혼재돼 있다.]자기장 역전, 1000년이면 충분하다이전까지 학계에서는 자기장이 역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약 5000년 정도로 보고 있었다. 그런데 장 피에르 발레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강이 있는 곳이다. 누런 물이 흘러가는 홍하 강변에는 한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모습
이 펼쳐졌다. 넓적한 푸른 잎이 달린 바나나 나무 밭이 끝없이 펼쳐져 있었다. 길가에 심겨진 가로수는 망고나무다. 열대, 아열대 기후 지역에 왔다는 것을 실감한 순간이었다.윈난 남부는 동남아시아 기후와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들고 “인천국제고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전혜지입니다”라고 또박또박 말하는
모습
에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입가에 슬며시 미소가 지어졌다. 인천 지역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이라 최근 인천 지역이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하면서 기후변화 이슈와 이와 관련된 사회기반시설에도 ... ...
[12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온 데스크의 썰이 모범답안은 아닐지라도 조금씩 노력해 보면 언젠간 달라진 자신의
모습
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좋은 과학기사를 쓰기 위해 필요한 것은 관심과 노력이다.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세상과 교감하며 의문점을 찾는 ‘여정’과도 같다. 한 해 동안 기사를 보내온 ... ...
수학으로 수놓는 가을밤 불꽃놀이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돋우는 데 쓰였다. 하지만 특별한 모양보다는 형형색색으로 빛나는 불꽃의 아름다운
모습
을 즐기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다 점차 불꽃의 모양을 다양하게 연출하면서 불꽃놀이에도 수학이 필요하게 됐다.불꽃놀이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하늘로 화약이 담긴 ‘옥’을 쏘아 올려 터트리는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