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펭귄은 혼란스러운 듯 시끄럽게 떠들었고, 아프리카 영양은 밤이 된 줄 알았는지 갑자기 우리로 돌아갔어요. 이전에도 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여러 동식물이 보인 이상 반응을 관찰한 사례는 많았어요. 하지만 이를 과학적으로 알아본 사례는 없었지요. 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는 시민과학을 통해 ... ...
- 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도르래를 이용해 로프로 끌어올리는 방식이에요. 하지만 도시의 건물은 점점 더 높아지고, 넓어지고 있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로프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방식의 엘리베이터가 등장했어요! 자석으로 움직인다! 자기부상 엘리베이터초고층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달려드는 거대한 물건에 치일 뻔했네. 이렇게 위험한 도시에 왜 떼로 몰려오게 됐냐고? 우리도 다 사정이 있지. 북한산은 지금 하늘소에게 안성맞춤!지난 여름 왜 갑자기 서울에 하늘소 떼가 나타난 걸까요? 그 원인으로는 먹이와 날씨, 생체 주기 등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어요.먼저 최근 몇 년간 ... ...
- [과학뉴스] 빛 공해, 꽃가루 옮기는 데도 방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되어도 곳곳에 켜진 수많은 조명들 덕분에 우리는 낮처럼 생활할 수 있어요. 하지만 밤에 밝은 불빛이 켜져 있으면 사람이 깊은 잠을 자는 데도 방해가 되고, 동물과 식물의 생활에도 피해를 줘요. 이처럼 인공 빛에 의한 피해를 ‘빛 공해’라고 해요. 최근 스위스 베른대학교 연구팀은 빛 공해가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지난 2015년, 하늘소를 좋아하는 청년 3명이 을 펴냈어요.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30년만에 출간된 하늘소 도감으로, 10년 동안 400회 이상의 탐사를 통해 만들어졌지요. 눈을 감아도 하늘소의 모습이 아른거릴 정도로 하늘소에 푹 빠졌다는 세 사람을 만나 볼까요? Q. 세 분이 함께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케이블을 설치하는 거예요. 엘리베이터가 이 케이블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지요. 우리는 실험을 통해 케이블이 어떤 방식으로 설치돼야 하는지, 그리고 케이블이 안정되게 하려면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한지 알아내려고 해요. Q. 또 다른 우주 엘리베이터도 연구되고 있나요?더 발전된 실험을 위해 ... ...
- [현장취재①]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강연에서 박사님이 가장 강조한 내용은 ‘환경보호’와 ‘개인의 실천’이었어요. “우리는 지구를 위해 매일 변화를 만들 수 있고, 어떤 변화를 만들지 선택할 수도 있어요. 실제로 정부에서 만든 환경정책보다 지역 주민들과 함께 한 활동이 환경을 개선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었답니다 ...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많은 수의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한 미국도 현재 이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논의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어요. 그만큼 고리 1호기를 안전하게 해체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가 됐지요. 친구들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과 필요성에 대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첫 페이지를 펼친 시원이가 친구들을 향해 소리쳤어요. 시원이가 가리키는 곳엔 우리나라와 일본 주변을 흐르는 해류의 지도가 그려져 있었지요.“그럼 보물을 얻기 위해 해류를 막았던 걸까? 족보에 다른 내용은 없어?”오로라가 시원이를 향해 물었어요. 그러자 시원이가 족보의 다음 장을 넘겨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연구소에서 복원에 성공해 지금은 금강 등지에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고유종은 얼마나 될까요? 답은 61종! 그 가운데에는 중앙내수면연구소 앞에 있는 조종천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종도 있어요. 바로 고 김익수 박사님이 발견한 ‘참종개’예요. 전세계에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