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약물 목록에서 합성화합물을 빼버린다면 인류의 평균수명은 뚝 떨어질 것이다. 한편
오늘날
인류가 처한 에너지, 환경 위기를 극복(또는 완화)하는데도 아이러니하게도 새로운 재료, 즉 화합물이 필요하다. 21세기는 재료과학의 시대라는 말도 있지만 고효율의 태양전지 등 환경친화적인 인프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사람이 이미지를 우선시할 경우, 오직 자신의 주위만 맴돌 위험이 크다”며
오늘날
“이미지를 최상의 가치로 만든 사회가 나르시시스트를 길러낸다”고 진단하고 있다. 보톡스 역시 나르시시스트 양산에 한 몫을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파동 진폭의 제곱이 그 위치에서 입자가 발견될 확률이라는) 반대했다. 그럼에도
오늘날
양자역학이 살아남은 정도가 아니라 물리학의 주류가 된 것은 반직관적으로 보이는 수식이 내놓는 예측이 실험 결과를 너무나 잘 설명하기 때문이다. 즉 고전물리학이 아무리 직관적이라도(물론 이를 이해하는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과정에서 유럽 각지의 용병을 고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시나리오다. 톨렌제 계곡 유적은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인류가 조직적으로 대규모의 전투를 수행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한반도에서도 일찌감치 필자가 추측하는 수준 이상의 큰 규모와 잦은 빈도로 전투가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덜 잔인했고 욕심도 덜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연의 산물을 새들과 기꺼이 나누었다.
오늘날
도처에서 볼 수 있는 근시안적인 잔인성은 화를 자초하고 있다. 새들을 무자비하게 죽이면서 자연의 평형이 깨져 곤충이 늘어나면서 농작물이 광범위한 피해를 보고 있다. 올여름을 보낸 소렌토에서도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도구는 차원이 다른 얘기라는 말이다. 여기서 잠깐 구석기에 대해 알아보면
오늘날
칼의 역할을 하는 박편을 주로 만들던 시대를 ‘올도완 문화’라고 부르는데 26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고 주먹도끼처럼 진일보한 타제석기를 만들던 시대를 ‘아슐리안 문화’라고 부르는데 170만 년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실렸는데, 놀랍게도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6~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늘날
유럽과 아시아인 게놈의 1~3%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이 게놈의 주인공은 불과 4~6세대 위의 조상이 네안데르탈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는 약 4만7000년~6만5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있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 미국에서 미토콘드리아치환요법 긍정 보고서 나왔지만
오늘날
과학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이후 유럽에 기반을 두고 있고 그 가운데서도 영국의 기여도가 압도적인데 문득 영국에 스타일이 있는 과학자들이 많아서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체의 질량과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토마세티 박사는 신체조직에 따라 암 발생률이 큰 차이를 보이는 현상에 의문이 들었다.
오늘날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환경 요인과 유전 요인이 정말 그렇다면 이렇게 편차가 클 리가 없다는 것. 연구자들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진화생물학의 이론, 즉 암은 ‘다세포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스물두 살 청년의 두 쪽짜리 논문이 어떻게 44년 뒤 노벨상으로 이어질 수 있었을까.
오늘날
내쉬의 균형 정리라고 알려진 논문의 내용은 간단히 말해 여러 사람이 참여하는 게임에서 누구든 다른 대체 전략을 선택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상황, 즉 균형점이 하나는 존재한다는 걸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