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해 우주 충돌 사고만 12건, 우주 교통사고 감시하는 위성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우주에 띄워 인공위성 충돌 등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노스스타 제공
초소형
인공위성(큐브샛·CubeSat)은 유닛(U)당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cm에 무게는 약 1.3kg인 작은 인공위성을 말한다. 1999년 조르디 푸이그-수어리 미국 캘리포니아폴리테크니크주립대 교수와 밥 트위그 ... ...
우주방사선 측정하고 연소실험하고...로켓·위성 넘어 스포트라이트 받는 우주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실험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이번 학술대회에서 공개했다. 박설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초소형
위성. 박설현 교수 제공. 미국과 유럽이 유인 달 탐사와 유인 화성 탐사에 적극 착수한 가운데 우주환경에서의 화재는 우주탐사에 나서는 우주인들의 안전과 직결된다. 박 교수는 “러시아가 운용한 ... ...
일상 되어 가는 중력파 관측 벌써 50건 돌파…"다체급 블랙홀 관측 가능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있는데, 그 질량범위를 넘어서는 애매한 천체가 발견되기도 했고 (2020년 6월 29일자
초소형
블랙홀인가 초대형 중성자별인가...중력파로 발견한 미지의 천체),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충돌 및 병합 현상이 확인되기도 했다(2020년 9월 2일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 ...
인텔 AI칩 우주로 간다…AI 장착 첫 인공위성 '파이샛-1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25일(현지시간) 유럽우주국(ESA)과 인텔이 합작 개발한
초소형
인공위성(큐브샛·CubeSat) ‘파이샛(PhiSat·Φ-Sat)-1호’가 발사 두 달여 만에 궤도에서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구름에 가려진 영상 스스로 삭제 ... ...
[오늘의 뉴스픽] 꿈조차 꾸기 어려운 국감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미국과 일본 과학자들처럼 소행성 탐사를 꿈꾸고 준비하는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초소형
위성을 만들고, 로켓 엔진을 만드는 청년들도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그 열정이 실현되길 바라는 납세자들을 위해서라도 '이제 제발 좀'. ... ...
캔위성 경연대회서 충북과학고·공군사관학교 최우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KAIST 인공위성연구소 관계자는 “인공지능 딥러닝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접목과, ‘
초소형
위성 기술 실증’, ‘행성탐사를 위한 착륙 충격량 완화’ 등 뉴스페이스 관련 아이디어가 돋보였다”고 말했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제한된 상황에서도 우주에 대한 ... ...
소형로켓의 아이콘 '일렉트론' 2021년 달 궤도선 쏘고 2023년 금성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위성 발사에 나선다. 뉴질랜드와 미국의 합작회사인 로켓랩은 그간 14차례에 걸쳐
초소형
위성(큐브샛)을 쏘아 올렸지만, 이는 모두 뉴질랜드 발사장(LC1)에서 이뤄졌다. 스페이스닷컴은 로켓랩이 미 버지니아주 발사장(LC2)에서 최근 지상 연소시험을 모두 마치고 첫 발사를 앞두고 있다고 20일 ... ...
美 광학회 선정 최우수 학생상에 이길주 GIST 박사과정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상용 광각 카메라 대비 획기적으로 렌즈 수를 절감해 상용 카메라 대비 6.3%의 크기로
초소형
카메라 모듈의 구현이 가능함을 증명했다.이 박사과정생이 속한 송영민 교수 연구팀과 김대형 서울대 교수팀이 함께한 연구다. 올해 5월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게재됐다. 이 박사과정생은 “연구성과를 ... ...
일론 머스크는 왜 돼지 뇌에 생각 읽는 칩을 심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뇌 신호를 읽으면서 동시에 세포에 자극을 주는
초소형
칩을 지난해 개발해 선보인 조일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단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장은 이번 발표에 대해 “기술 측면으로 보면 논문으로 이미 선보인 내용들을 발표한 만큼 새로운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흡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제거 수술이 필요하지 않다”며 “얇고 유연한 소자 덕분에
초소형
삽입수술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의 주사주입형 약물전달보다 저용량으로 필요 부위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반복적인 약물치료 시 추가 수술 없이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