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췌장 조직 배양해 당뇨 치료제 개발 돕는 플랫폼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및 질환 연구에도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연구를 이끈 장
교수
는 “연구에서 개발한 맞춤형 췌도세포 플랫폼은 실제 췌장 구조와 기능을 재현하여 인공 췌도세포의 성숙과 기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당뇨병 연구 및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췌도세포 이식 ... ...
얼굴 뼈 화석으로 찾은 서유럽 첫 정착 고인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될 것으로 기대된다. 로사 우게트 스페인 로비라 이 비르질리대 역사학·예술사학과
교수
팀은 스페인에서 발굴된 고인류 얼굴 뼛조각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유라시아 지역에는 약 180만 년 전 고인류가 처음 등장한 것으로 ... ...
베일 벗는' 재사용 차세대발사체' 계획안…엔진방식에 연료까지 변경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절차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는 행위"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 다른 항공우주 분야
교수
는 "엄연히 예타라는 절차를 통해 통과된 2조 세금이 들어가는 사업의 계획을 크게 변경하는 것은 다른 사업에도 예타 같은 행정절차가 중요하지 않다는 사인을 줄 수 있다"라면서 "불가피한 상황 때문에 ... ...
[과기원NOW] KAIST, 대형 AI모델 학습 최적화 시뮬레이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화소)을 만들었다. 주름 픽셀을 기반으로 단청 문양을 패터닝 하는 데도 성공했다. 김
교수
는 "간단한 공정으로 가변형 구조색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라며 "염료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색이 바래지 않아 위조 방지 기능 외에도 자극 감응형 스마트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 ...
원자 1개 두께의 2차원 금속판 단조하는 '나노 대장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원자 1~3개 두께의 2D 금속판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장 광위 중국과학원 물리학연구소(IOP)
교수
팀은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보다 더 작은 단위인 수 옹스트롬(Å, 1Å은 0.1nm) 두께의 2D 금속판을 제조하는 방법인 '반데르발스(vdW) 스퀴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포스텍, QS 세계대학평가서 재료과학 등 5개 분야 50위권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010년대 중반에 주춤했던
교수
1인당 연간 연구비는 최근 10.8억원까지 늘었는데 이는 신진
교수
진의 활발한 연구 활동의 덕이 크다는 분석이다. 포스텍은 "올해 엔비디아의 초고성능 GPU인 H200 서버 도입도 예정돼 AI 연구 환경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라며 "첨단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 협력 확대를 통해 ... ...
재활로봇과 전기자극 결합으로 척수 손상 환자 개선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수 있는 새로운 재활 치료법이 제안됐다. 조슬린 블로흐 스위스 로잔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가 이끄는 연구그룹인 ‘뉴로리스토어(NeuroRestore)’ 연구팀은 척수 신경 보정술과 재활 로봇 통합 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척수 ...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자문
교수
"중증외상, 누구도 자유롭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추가 확보가 이미 예정됐습니다.“ Q.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하는 중환자외과
교수
로 앞으로 노력할 점은. ”'24시간, 365일. 한순간이라도 우리가 멈추면 누군가의 심장도 털컥 따라 멈출 것 같습니다. 환자의 심장을 계속 뛰게 하기 위해 앞으로도 계속 뛰겠습니다' 라는 극중 대사처럼 환자가 ... ...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소재, 남극 홍조류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윤의중 책임연구원과 이정태 경희대 국제캠퍼스
교수
공동연구팀은 세종기지 인근 바다에서 채집한 남극의 홍조류인 ‘커디에아 라코빗자에(Curdiea racovitzae)’로부터 상용 바인더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물질을 찾아냈다. 시뮬레이션 결과 ... ...
젊은 뇌 되찾는 단서 발견…노화 관련 유전자 64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효과를 낼 수 있는 잠재적 치료제도 찾았다. 정싱 황 중국 저장대 컴퓨터과학기술대
교수
연구팀은 뇌의 노화 속도와 관련한 유전자들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12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3만8961명의 뇌 스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