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32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세포가 당을 해독제로 바꾼다…치매 예방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이 경로를 자극해 치매 예방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연구를 이끈 카파히
교수
는 “뇌 속 당 대사를 단순한 연료 소비가 아닌 세포를 지키는 전략적 작용으로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doi.org/10.1038/s42255-025-01314 ... ...
"과기정통부 아닌 AI부 신설된 듯…AI와 과학 반드시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장우동 연세대 화학과
교수
, 홍성금
교수
조선대 융합수리과학과
교수
가 참여했다. 포럼은 기과협이 주관하고 김우영·박민규·황정아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가 후원했다 ... ...
헬리코박터·HPV…감염병만 예방해도 암 덜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영향을 미치는지를 장기 추세로 분석한 첫 사례다. 박수경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30년까지 한국에서 암을 유발하는 주요 감염원들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상대위험도'와 '인구기여위험도' 두 가지 핵심 지표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30일 발간된 ... ...
"보중익기탕, 면역세포 간 ‘소통’ 조절해 면역항암제 효과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정미경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박상민 충남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보중익기탕이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관여하는 작용 원리를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보중익기탕과 구성 약재인 인삼, 황기, 백출, 감초 등을 분리해 추출했다 ... ...
신장 7배 커진 환자 신장 제거·이식 로봇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입원 기간 합병증 없이 순조로운 회복세를 보여 지난 21일 건강하게 퇴원했다. 신성
교수
는 “수술을 결정하기 어려운 조건이었지만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수술을 진행했다”며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환자도 만성 신부전에서 벗어나 새 삶을 살 수 ... ...
생체노폐물 요소 활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전달하거나 세포 기반 치료법의 원천기술로 활용 가능하다. KAIST는 최인성 화학과
교수
팀이 외부 동력 장치나 기계 구조 없이 요소만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자가 추진 세포로봇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됐다. 나노로봇 등 작은 ... ...
계단 오르는데 몸이 가벼워졌다… ‘눈치 빠른 로봇’으로 향하는 의료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보행 보조 로봇의 미래 경쟁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김
교수
는 “이제는 ‘눈치 빠른 로봇’이 중요한 시대”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로봇은 사용자가 움직인 뒤 반응하는 구조였지만 앞으로는 사용자의 의도를 먼저 읽고 움직이기 직전에 반응하는 로봇이 ... ...
[과기원NOW] KAIST, AI로 '이산화탄소 포집' 유망 소재 찾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수 있는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운 양창덕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팀은 '캠퍼 유도체'를 첨가해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합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잔류 물질이 없어 태양전지의 수명과 효율을 개선하고 공정을 단순화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18세 미만·65세 이상 초진 비대면 진료 허용 논란…의료계 "현실과 동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성인과 질병 양상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대면 진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의대
교수
중심 비대면 진료 관련 학회인 ‘한국원격의료학회’도 개정안의 초진 허용 범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원격의료학회 관계자는 “18~64세를 초진 대상에서 제외했는데 이 연령대는 디지털 기기 사용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챙이 뇌에 전극 이식해 뇌 형성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8
따라가며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전극이 필요한 이유다. 지아 리우 하버드대
교수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극도로 얇고 부드러운 메쉬 구조의 마이크로 전극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극의 두께는 1마이크로미터(μm) 이하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