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어린이과학동아
"
생태계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작은 새 -벌새 벌처럼 꽃의 꿀을 먹고 산데요~ 벌새는 아무리 몸집이 작아도 누구도
포스팅
l
20141112
가장 작은 새 -벌새 벌처럼 꽃의 꿀을 먹고 산데요~ 벌새는 아무리 몸집이 작아도 누구도 흉내 낼 수없는 뛰어난 비행술을 가지고 있답니다! 앞으로 날기 뒤로 날기 옆으로 날기 정지비행 못하는게 없데요~^^ (참고자료: 신기한 동물에게 배우는
생태계
) ...
요즘 산이나 들에 나오면 하얀꽃이 이쁘게 피어있죠. 서양등골이라는 식물인데
생태계
교란종이라
포스팅
l
20141026
요즘 산이나 들에 나오면 하얀꽃이 이쁘게 피어있죠. 서양등골이라는 식물인데
생태계
교란종이라고 하네요. 뽑아서 버리면 안되고 태워야 없어지는 식물이라고합니다.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평창의 2박3일
기사
l
20141022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밀접한 먹이사슬로 연결되어서 어느 종의 멸종도 인간에게 득이 되지 않는다는 현실을 의식하면서
생태계
를 보호하는 일에 앞장서자는 실질적인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어요. 우리 팀은 거미/곤충을 보호하기 위해서 ①농약과 살충제 사용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사용 기준치를 명확하게 제시할 것 ②무분별한 외래종 유입에 대한 검열 ...
우리모두 생물다양성의 소중함을 느껴요 ‘2014 UN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보고서
기사
l
20141022
Koreptiles) 3. 무분별한 연안개발로 인하여 파괴된 연안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연안보호구역을 지정하 고, 해당 지역의
생태계
와 인간의 공존을 위하여 에코투어리즘을 활성화 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고등 어류의 Ecocean) 저는 이번 총회에 참석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꼈습니다. 첫째,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준비단계
기사
l
20141019
제시하는 것이예요. 각각의 주제는 초등학생은 ‘한반도 및 DMZ의 멸종위기종’, 중학생은 ‘과도한 생물자원 이용’, 고등학생은 ‘
생태계
와 인류의 공존’에 대해서 주제가 정해졌어요. 마지막으로 헤어지기 전에 ‘곤충’에 대한 동영상을 재미있게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대표단 입장표명서의 주제-> ...
서해 갯벌에 무슨 일이? 서해 몽산포 갯벌이 죽어가고 있다…
기사
l
20141013
합니다. 바로 갯벌 휴년기를 만들어 사람들이 2년에 한번 갯벌을 이용하게 하고 해양생물들이 번식할 수 있는 기간을 주어 갯벌
생태계
를 유지시키도록 합니다. 2. 쓰레기 줄인다! 갯벌 곳곳에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표지판을 만들고 쓰레기가 해양오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립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갯벌에서 나올 때 자발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
민물고기가 천연기념물?? 화천토속어류생태체험관을 다녀와서..
기사
l
20141007
생각없는 외래종의 도입과 방치로 인해 민물고기를 천연기념물로 지정까지 하게 된 것입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생물종은
생태계
라는 이름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언젠가 신문기사에서 ‘지구상의 생물이 10분에 1개종씩 멸종되고있다’라고 본 적이 있습니다. 멸종되어 버린 생물자원은 다시 복원하기가 힘들고 그 피해는 결국 우리 인간들에게 ...
지구의 끝! 남극이 추울까?북극이 추울까?
기사
l
20141002
활동으로는.1. 기상 및 대기화학/ 고층 대기 연구2. 빙하학 연구3. 고기후 및 지질 연구/ 지체 구조 및 지구 물리 연구4. 해양학/ 육상
생태계
, 생물 다양성 및 장기 모니터링 연구5. 극한 생명 과학 연구6. 남극 운석 탐사.다음은 연구동으로 가서 다큐멘터리 영상을 보고 사진전과 벽화를 보면서 극지의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지구의 환경변 ...
j1037-0925-b3 전주 양묘장에서 곤충들 보러갔다가~ 흐드러지게 핀 코스모스밭에 모
탐사기록
l
20140927
j1037-0925-b3 전주 양묘장에서 곤충들 보러갔다가~ 흐드러지게 핀 코스모스밭에 모여있는 벌들~ 잎을 돌돌말고 알을 낳은 이름모를 곤충~ 거미줄에 걸린 곤충을 거미줄로 열심히 감고 있는 거미도 만났다~ 매미가 걸린 거미줄에는 매미가 힘이 빠질때까지 거미가 기다린다. 청명한 가을에 만난
생태계
의 모습은 경이로웠다. ...
사라진 한국토종 여우 등장 멸종위기 종 1급 토종여우 다시 살아날까?
기사
l
20140913
토종여우를 비롯한 많은 동물들이 이미 사라지거나 사라지고 있습니다. 멸종되는 동물의 개체가 늘어나면 먹이사슬이 무너져
생태계
의 교란이 일어납니다.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데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멸종위기 동물에 대해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얼마 전 사라진 여우의 등장이 반가운 소식이 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우리 모두가 토종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