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전자에 다시 펨토초 레이저를 쏘면 도플러 효과에 의해 전자가 레이저 속 광자를 매우 큰 에너지의 엑스선 광자로 느끼게 된다. 이런 특별한 조건에서 벌어지는 현상은 ‘강력장 양자 전기동역학’이라는 별도의 학문 범주로 다룬다. 도플러 효과에 의해 형성된 강한 전기장을 이용하면 전자와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 노오란 마리골드 꽃이 피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렁이가 배설한 흙은 동글동글한 입자라, 토양 내부에 공극을 키우기 유리하다. 공극이 큰 토양은 물을 많이 함유할 수 있다. 물을 많이 함유할 수 있는 토양은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좋은 환경이다. 또 공극을 통해 기체가 토양 내부로 공급되기도 한다. 식물 뿌리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는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우리들도 생생한 이야기로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게 누구나 카시오페이아 자리, 큰개자리, 안드로메다의 이름이 붙은 별자리나 은하를 기억하게 된다. ●모든 학생이 쉽게 쓸 수 있는 챗GPT 공부법‘챗GPT 자기주도 공부법’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를 바로 지금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안전 가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메타버스 탑승법 1. 메타버스 속 모든 사람들을 소중히 생각해요! 메타버스의 가장 큰 문제는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말과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의 아바타를 향해 욕을 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죠. 성적인 괴롭힘도 종종 일어나요. 혹시 ‘어차피 ...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인정받는 수학과가 됐습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수학과 학과장이었던 헨리 파인의 공이 큰데요. 1903년 미국 전 대통령이자 당시 프린스턴대 총장이던 우드로 윌슨은 프린스턴대의 교육 수준을 높이기 위해 뛰어난 수학자인 파인을 학과장으로 임명합니다. 파인은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루터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에요. 그리고 곡선 아래에서 이 특성삼각형과 닮음인 더 큰 직각삼각형을 찾을 수 있어요. 이 두 직각삼각형의 닮음 관계와 비례식을 통해 그 넓이와 입체의 부피까지 구할 수 있지요. 미적분학이 추상적이고 난해해 보이지만, 라이프니츠가 미적분학을 풀어낸 과정에서 ...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오빗(Virgin Orbit)’은 올해 5월 비록 파산했지만, 그 기술은 여전히 유효하다. 로켓을 큰 비행기에 달아 어느 정도의 고도와 속도에 이른 후 거기서부터 발사하면 그만큼의 에너지 즉,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로켓의 경우 거주 지역 피해 등을 포함해 발사 위치와 방향이 고정적일 수밖에 ... ...
- [인터뷰] 양자내성암호를 우리의 삶으로 이끄는 수학자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앞으로 암호체계의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안 수준만 높이고, 최종 사용자에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며 “탄탄한 수학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양자내성암호 체계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회전축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가스 물질이 유입돼 들어오는 방향도 에너지 분출 방향에 큰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블랙홀의 회전축 자체는 기울어진 상태였지만 우연히 또 다른 각도로 주변 물질이 유입돼, 마침 은하 원반의 수직 방향으로 거품이 남았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는 있다.조상들의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있습니다. 이 연구는 현대자동차와 협업 중이어서, 산업계 및 이용자들의 일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이 양자컴퓨팅 기반 자율주행기술은 고려대가 보유한 원천기술로서, 미래로 나아가는 AI딥러닝 모빌리티 연구의 최일선에 있음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자율주행은 대도시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