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양성자 질량의 기원 밝혀졌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실험을 제안한 상태다. 제인에딘 메지아니 아르곤국립연구소 선임
연구원
은 “매우 흥분되는 실험결과”라며 “새 발견이 추가 실험으로 더 구체화되면 양성자에 대해 훨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인터뷰] 기후 비밀을 쫓는 탐정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들고 사진을 찍어도 되나요?”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
연구원
(IBS) 기후물리 연구단장이 기자에게 물었다. 그에게 ‘고기후연구’는 과거를 비춰 미래를 보는 거울이자 인류의 진화를 이해하는 단서다. 물리학을 인류학과 철학으로 확장하는 열쇠기도 하다. 해골은 바로 그 상징. 기후물리 연구단은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정확하게 내려와야 해, 자세제어와 항법유도 기술의 정밀도가 높아야 한다. 공 주임
연구원
은 “길이 보이지 않아도 빠른 기술 발전이 과거엔 불가능하던 것들을 오늘날엔 가능하게 만들어준다”며 “주변을 둘러보며 가면 못 갈 길이 없다”고 말한다. 도전을 이어가는 방법을 아는 이의 경험에서 ...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류구는 24가지 종류의 소행성 중 유기물이 많이 발견되는 C형에 속한다. 문홍규 한국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탐사그룹장은 “C형 소행성의 C는 ‘탄소질(carbonaceous)’의 준말로, 태양 가까운 궤도를 돌며 가벼운 휘발성 분자가 말라버린 S형(규소질)이나 M형(금속질) 소행성에 비해 유기물이 더 ... ...
[만화 뉴스] 남극해의 구름이 밝게 보이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빛의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 구름이 밝게 보인답니다. 유타대학교 제럴드 메이스
연구원
은 “남극해는 산업화 이전 대기의 마지막 흔적으로 지구의 기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습니다. 용어 설명●에어로졸 :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작은 고체 및 액체 입자들 ... ...
[4컷 만화] 우주 먼지로 햇빛 차단! 지구온난화 막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우주 정거장을 설치해 먼지를 6일마다 쏘아 올리는 데는 큰 비용이 들어요. 벤 브롤리
연구원
은 “달의 먼지를 채굴해 라그랑주 점 근처에 발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먼지를 발사하는 달에 시설이 설치되면 많은 양의 먼지를 빠르고 지속적으로 쏘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다른 무질서한 신호와 달리 특정한 패턴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 프랭크 마치스
연구원
은 “AI는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어.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있고, 스마트폰을 쓰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많아졌어요. 2020년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이 전국 초등학생 4~6학년 2700여 명, 학부모 2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 4~6학년 중 87.7%가 스마트폰을 쓰고 있다고 밝혔어요.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에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많아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연구하는 해석학을 전공한 그는 1973년 미국으로 건너와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으로 일합니다. 그때 2차 선형 PDE 연구를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한스 레비 교수의 조화 분석 강의를 듣습니다. 조화 분석은 함수와 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PDE를 ... ...
[화보] 우주를 헤집는 해파리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향해 꿈틀거리더니 푸른 촉수를 뻗는다. 해파리 성운(IC 443)을 담은 이 작품은 한국천문
연구원
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에는 지구의 밤하늘과 태양계, 그리고 깊은 우주의 아름다움을 담은 작품 294점이 출품됐다. 수상작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