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의 1저자인 루카 세치니 이탈리아기술연구원 박사과정 연구원은 “씨앗 로봇은 전선과 배터리 없이도 토양 표면 탐사와 모니터링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생물에서 영감을 얻는 접근 방식을 통해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비용 기기를 만들 수 있었다”고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역할까지 생각한 듯합니다. Q. 은하 연구자이자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자로서 연구원님의 다음 목표는 무엇인가요? 제가 과학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해오며 느낀 큰 아쉬움은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과학과 실제 연구자가 생각하는 과학의 관심사 사이에 큰 간극이 있다는 겁니다. 천문학 학회에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부터 한국재료연구원에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코넬대 재료공학과 박사후과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UNIST에 재직 중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에너지 변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seoksi@unist.ac ... ...
- [만화 뉴스] 남극해의 구름이 밝게 보이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빛의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 구름이 밝게 보인답니다. 유타대학교 제럴드 메이스 연구원은 “남극해는 산업화 이전 대기의 마지막 흔적으로 지구의 기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습니다. 용어 설명●에어로졸 :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작은 고체 및 액체 입자들 ... ...
- [가상 인터뷰] 어린이와 어른은 시간을 다르게 경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관념으로 생각하기 시작한다고 설명했어요. 헝가리 세멜바이스대학교 산드라 스토이치 연구원은 “몸 안에 시간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생물시계●는 없다”며 “앞으로 생물학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에서 생물시계의 작용 원리를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용어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있고, 스마트폰을 쓰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많아졌어요. 202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전국 초등학생 4~6학년 2700여 명, 학부모 2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 4~6학년 중 87.7%가 스마트폰을 쓰고 있다고 밝혔어요.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에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많아 ...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연구하는 해석학을 전공한 그는 1973년 미국으로 건너와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합니다. 그때 2차 선형 PDE 연구를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한스 레비 교수의 조화 분석 강의를 듣습니다. 조화 분석은 함수와 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PDE를 ... ...
- [화보] 우주를 헤집는 해파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향해 꿈틀거리더니 푸른 촉수를 뻗는다. 해파리 성운(IC 443)을 담은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에는 지구의 밤하늘과 태양계, 그리고 깊은 우주의 아름다움을 담은 작품 294점이 출품됐다. 수상작 ... ...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공부를 잘한다는 건 수업에서 배운 걸 잘 기억하고, 잘 끄집어낸다는 겁니다. 한국뇌연구원에서는 학습과 기억의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학습정보가 뇌에 얼마나 저장되고, 이걸 어떻게 해야 안정적으로 잘 회상했다가 다시 저장하는 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돼 있어요. 예를 들어, 처음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