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사면 어떨까. 1만 개를 사면 가브리엘의 갑옷이 20개 정도 나올 것이다. 이건 ‘큰 수의
법칙
’ 때문이다. 어떤 실험을 매우 많이 반복하면 체감하는 확률이 수학 확률에 가까워진다는 이론이다. 실제로 아돌이 얻는 아이템의 비율이 정해진 확률과 비슷해지는 것이다. 가브리엘의 갑옷이 나오는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전의 폐포가 원래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다. 이때 건강하게 남아 있는 조직의 프랙탈
법칙
을 분석하면 비어 있는 공간의 구조도 추측할 수 있다. 황 박사는 “폐기종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기도처럼 프랙탈 구조를 띤 다른 부위가 손상됐을 때도 같은 방법으로 인공장기 설계도를 만들 수 있다”고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덧붙였다. 수학으로 된 개념을 알기 쉬운 단어로 번역했고, 중력의 작용과 에너지 보존의
법칙
등 숨어 있는 의미를 찾아내 현대적으로 명쾌하게 설명했다. 그의 번역판으로 뉴턴의 물리학은 더 완전해졌다. 영국의 과학사학자 사라 허튼은 ‘뉴턴과 뉴턴주의: 새로운 연구들’(2004)에서 에밀리의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다른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복잡한 우주를 궁극적으로 간결하고 우아한
법칙
으로 해석하는 인간 정신의 놀라운 능력을 실컷 향유해보자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교수는 위상최적화로 다리와 골반부를 연결하는 ‘근위대퇴골’에집중해 울프의
법칙
을 확인해 봤다. 결과는 놀라웠다. 일상생활에서 근위대퇴골이 받는 힘을 분석해 위상최적화로 시뮬레이션한 모습은 실제 뼈의 단면과 거의 똑같았다. 즉 사람의 뼈는 환경에 맞게 위상최적화됐다! 아래의 두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반복해 붙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관지는 예상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철저하게 프랙탈
법칙
을 따르고 있었다.황 박사는 “기관지 모양을 만들어내는 청사진에는 난류냐 층류냐 하는 구분이 없고, 기관지 모양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크기에 상관없이 반복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기관지가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세 번째 공을 그 다음 3초 뒤에 떨어지게 던지는 거예요. 같은 방법으로 공이 3개일 때는 51
법칙
으로도 저글링을 할 수 있어요.“어떤 수열이 저글링이 되는지 안 되는지 판단하는 수학적인 방법도 있어요. 수열의 n번째 수에 n을 더한 값을 수열의 길이로 나눈 나머지가 모두 다르면 저글링이 ... ...
[수학동아클리닉] 관계를 알아보는 정비례와 반비례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합니다.정비례의 예로는 단위의 변환 관계, 환율 등이 있습니다. 반비례의 예로는 지레의
법칙
, 넓이가 같은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관계,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속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 등이 있습니다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초유체 현상이다. 자연의 운동에는 마찰이 따르게 마련인데 이 두 물질계는 자연
법칙
을 거스르듯 마찰 없이 전류와 물류(물질 자체의 흐름. 즉 초유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흐름)를 흘릴 수 있어 보였다. 이 두 문제는 1947년 레프 란다우가 초유체 문제를, 1957년 바딘-쿠퍼-슈리퍼가 초전도체 문제를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에드워드 드링커 콥에 따르면, 동물은 진화하면서 몸집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콥의
법칙
). 몸집을 키우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큰 개체는 포식자를 피해 달아나거나 포식자와 맞서 싸우기에 유리하다. 긴 다리로 겅중겅중 달리면 먹잇감을 잡기에 좋다. 암컷을 두고 싸울 때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