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칙"(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친구와 만나기로 한 10분 전,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전화기가 꺼져버렸다면? 명절에 할머니 댁에 가는 길, 꽉 막힌 도로 위에서 자동차 계기판에 기름 부족을 알리는 신호가 들어왔다면? 그런데 미래에는 이런 난감한 사태를 걱정할 필요가 없어질 겁니다.실내 전자기기얼리어답터 조문과 씨의 생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인력뿐만 아니라 척력도 작용하도록 만든 게 핵심이다(아인슈타인-카탄-시아마-키블 중력법칙). 인플라톤 입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지평선과 편평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주로 진화시켰을 때 닫힌 우주라는 결론이 나온다는 문제가 있다(우리 우주는 편평하다).초끈 이론의 입자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건 그만큼 많은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는 의미로 통계학에서는 다수의 법칙이라고 한다”며 “마치 해상도가 높은 화면처럼 보고자 하는 현실을 더 정확히 볼 수 있게 한다”고 말했습니다.STEP 2 과거 재난 상황의 데이터를 분석하라대피 상황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는 주변 사람들의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컴퓨터 분야로까지 퍼졌다(수학과 컴퓨터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다). 마침 무어의 법칙도 슬슬 힘에 부치기 시작한 시기였다. 획기적으로 집적도를 높일 무언가가 필요했고, 3진법과 그이상의 n진법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가성비’ 좋은 3진법, 현재로서는 가장 가능성 높아1파트에서 확인했듯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학적 위상공간으로, 비가환 대수(교환법칙이 성립하는 xy-yx=0을 가환 대수,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xy-yx=iα를 비가환 대수라고 한다. α는 끈이론에서 도입된 상수)를 기하학으로 다룬다. 마치 x2+y2=1이라는 함수를 반지름이 1인 원으로 다루는 것과 같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보는 고전적인 4차원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내뿜으면서 앞으로 나가지요. 즉,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하는 거예요. 동시에 다리를 펼쳤다 오므리면서 물을 뒤로 밀어내어 앞으로 나가기도 해요.이탈리아 성안나대학교 바이오로봇공학 연구소의 세실리아 라스키 교수는 이런 문어와 똑같이 움직이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때문에 연료를 대체할 다른 재료를 찾아야 하지요.요구르트 병 로켓이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해 하늘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땅으로 무언가를 내뿜어야 해요. 예를 들어 빠르게 아래로 내려오는 공기나 물의 압력을 이용하면 어떨까요? 아래 사진처럼 그 반작용으로 요구르트 병 로켓이 날아오를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게임 아이템 줍듯 주울 수 있다. 탱글탱글한 식감이 일품인 키조개는 ‘키조개의 법칙’ 따위 필요 없을 정도로 아무데서나 구할 수 있다.득량도 앞바다 또한 마음이 넓다. 통발을 던져 놓기만 해도 주렁주렁 올라오는 돌게 덕에 이 많은 걸 다 어디에 써야 할지 행복한 고민을 하게 만들고, 바다 한 ...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래서 전문가들은 인체 부위의 생김새나 몸속에 나타나는 현상의 패턴이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지 계산해 프랙탈 여부를 알아낸다.뇌 주름커다란 주름을 기준으로 몇 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안에 잔주름이 오밀조밀하다. 뇌 주름을 다 펴면 총 넓이가 신문지 한 장만 하다. 뇌 주름은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오목거울을 이용했기 때문에 상은 거꾸로 맺혔습니다. 오목거울은 빛의 반사 법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상이 반대로 맺히기 때문이지요.다른 사람의 초상화를 그릴 때처럼 오목거울을 하나만 이용하면 옆모습 밖에 그릴 수 없게 됩니다.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려면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