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91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설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에 주목했다. 위
아래
에 넓은 금속판을 두고 그 사이에 섬유로 만든 얇고 긴 띠를 넣어 바람에 띠가 나부끼게 한 것이다. 이 띠가 금속판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과정에서 ‘마찰전기’가 생긴다. 마치 풍선을 옷에 비비면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명을 태우고 실험을 진행했다. 포물선 모양의 궤적을 그리며 비행할 때 위에서 정점에서
아래
로 내려오는 동안 나타나는 달과 흡사한 미세중력 상태를 활용하는 것이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었던 이소연 박사도 이 비행기에서 무중력 훈련을 받았다. 달과 같은 중력 환경에서 걷기와 달리기 ... ...
“나 그렇게 만만한 대장균 아니야”
2014.09.21
내부 모습을 담았다. 표지 속 대장균은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고 있다. 표지의 ‘S'자
아래
에서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박테리오파지는 대장균의 세포벽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자신의 유전물질을 증식시키기 위해 대장균 속에 주입한다. 표지에서 빨간색과 파란색,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기존 광학현미경으로 본 영상(위)과 새롭게 나노이미징 기술을 적용한 영상(
아래
). 글자 획의 굵기가 수십 nm도 채 안 되지만 NANO라는 글자를 또렷하게 볼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10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또렷히 관찰하는 데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8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서포터스' 메뉴에 들어가서 참여신청을 하면 '서울대 공대 카페' 안내 메일이 갑니다.
아래
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dsciencecity/9882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동규 dlee9@donga.com 서영표 sypyo@donga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따라 특정 조직으로 분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맨 오른쪽은 위에서부터
아래
로 대뇌피질조직(실제 피질은 여섯 층이나 분화시킨 건 네 개 층에 머물렀다), 망막조직, 뇌하수체조직이다. 최근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망막조직을 황반변성 환자에게 이식한 임상이 실시됐다. -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당 5달러(약 5125원) 정도였지만 매년 가격이 급속도로 떨어져 2011년에는 1달러(약 1025원)
아래
로 내려갔다. 하지만 값싼 태양전지의 가격 이면에는 정부의 대규모 보조금 정책이 버티고 있다. 태양광은 풍력이나 원자력 발전에 비해 비용이 3∼6배 많이 드는 신재생에너지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 ...
송편과 같이 먹은 솔잎, 진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9.09
식물들 사이에서 우리가 흔히 소나무라고 부르는 식물의 잎을 어떻게 찾아내 송편
아래
깔아놓을 수 있을까. 우선 잎의 수에 따라 소나무와 잣나무를 구분할 수 있다. 소나무·백송·리기다소나무의 잎은 2~3개씩 모여 나고 잣나무·스트로브잣나무의 잎은 5개씩 모여 난다. 또 잎 모양을 비교해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4.09.06
아니다. 구의 겉면인 구면 위의 도형을 다루는 ‘구면 기하학’에도 달(Lune)이 있다. 왼쪽
아래
그림과 같이 구가 있고, 구의 지름을 포함하는 두 원이 겹쳐져 있다고 하자. 이때 노란색에 해당하는 곳을 구면 기하학에서는 ‘달(Lune)’이라고 한다. 왼쪽의 노란 부분은 평면 도형에서의 궁형이고, ... ...
진짜 보름달은 한가위 다음날에 뜬다
2014.09.01
시각이 추석 다음날인 9일 오전 10시 38분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때는 달이 지평선
아래
로 내려가 버리기 때문에, 서울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둥근달은 9일 오전 6시 3분 달이 지기 직전 서쪽 지평선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번 보름달은 지난 8월 보름달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큰 보름달로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