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90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눈에 띈다. 이게 뭘 나타내는 건지 궁금해 할 독자를 위해 그림
아래
에는 친절하게 ‘The University Experiment’라는 제목을 달아 놨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특정 연구 결과 대신 전세계 대학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을 다룬 기획 기사를 형상화했다. 11세기에 대학이 처음 등장했을 때 가장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결혼했다. 남편 에드바르드(Edvard Moser)는 1962년 생, 아내 마이브리트(May-Britt)는 한 살
아래
인 1963년 생이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모세르 부부의 2010년 모습. 1983년 대학 캠퍼스에서 만나 지금까지 30여 년 동안 동고동락해왔다. - 카블리연구소 제공 대학에서 뭘 공부할까 고민하던 두 사람은 ... ...
둘 중 누가 사람이고, 누가 로봇일까요?
2014.10.12
같다. 하지만 둘 중 위에 있는 사람은 일본 오사카대 이시구로 히로시 교수다.
아래
는 이시구로 교수가 개발한 로봇이다. 만약 표지에 있는 로봇을 실제로 만나게 된다면 어떤 기분일까. 1970년 일본의 로봇 과학자인 모리 마사히로 박사는 이런 로봇을 볼 때 사람은 비호감을 느낀다며 ‘불쾌한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움직이면서 모래언덕을 오르는 방향으로 몸을 찍어 누르는 과정을 반복했다. 머리를 위
아래
로 움직이는 동안 몸통을 지면에 더 강하게 밀착시키는 효과도 있었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뱀 로봇의 이동 프로그램을 수정했다. 로봇이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비율을 수정해서 바닥에 닿는 ... ...
비틀스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는 이런 느낌?
2014.10.07
여름, 가을, 겨울을 이룬다. 계절의 변화와 해가 뜨고 지는 자연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위
아래
로 배치된 나무를 네 등분 하여 각 계절의 특색에 어울리는 변화를 담았다 ... ...
‘아바타 마우스’는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일 것인가
2014.10.05
생겨난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폭풍의 바다는 지구에서 볼 때 보름달의 왼쪽 위
아래
에 넓게 퍼져 있는 회색빛깔 지형이다. 고대인들은 이 지역을 달에 있는 실제 바다라고 생각했고, 근대 천문학자들은 지름 3200km 정도의 소행성이 달에 충돌하면서 현무암질로 이뤄진 이 넓고 평평한 지역이 ... ...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얼음(왼쪽 위)은 태양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일부 파괴되지 않고 남아(오른쪽 위와 왼쪽
아래
) 지구를 포함한 오늘날의 태양계 전역에 퍼져 있다(오른쪽
아래
)는 사실이 밝혀졌다 - 미국과학재단(NSF) 제공 ●산소와 인의 고향도 우주 산소가 우주에서 처음 만들어졌을 것이라는 주장도 최근 제기됐다. ... ...
노벨상 받은 '부산 싸나이'
과학동아
l
2014.10.01
1987년 노벨상 수상자가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사람이라고? 사실이다. 부산에서 태어난 '부산 싸나이'가 이 해에 노벨화학상을 받은 것이다. 한국 '출신' ... 업적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특별 페이지를 만들어 1일 공개할 계획이다. 특별 페이지는
아래
배너를 누르면 바로 갈 수 있다. ... ...
이번 주말엔 ‘토성 품은 달’ 관측하세요~!
2014.09.24
희미한 달을 볼 수 있다. 달을 찾은 뒤에는 낮 12시 전에 지평선을 기준으로 달의
아래
부분에서 토성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는 망원경을 이용해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천문연은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 28일 낮 12시 ‘토성-달 엄폐 천문현상 관측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설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에 주목했다. 위
아래
에 넓은 금속판을 두고 그 사이에 섬유로 만든 얇고 긴 띠를 넣어 바람에 띠가 나부끼게 한 것이다. 이 띠가 금속판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과정에서 ‘마찰전기’가 생긴다. 마치 풍선을 옷에 비비면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