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스스로 독창적인
사람
이 되라독창적인
사람
은 어떤
사람
일까? 그들은 스스로가 독창적인
사람
이라고 믿고 있다. 그럼 독창성이 없는
사람
은 어떤
사람
일까? 스스로가 독창성이 없는
사람
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다. 독창적인
사람
과 그렇지 못한
사람
의 차이는 ...
옛 영화의 복원 노리는 전기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3대는 전기자동차였다. 가솔린차는 푸조사의 1대 뿐이었다. 이듬해인 1899년에는 벨기에
사람
인 카뮤씨가 시속 1백5㎞의 속력을 내는 전기자동차를 개발, 이 부문의 신기록을 수립했다. ... 이유는 조용하고 운전하기 쉬운 전기자동차보다 행동반경이 큰 증기자동차를 요구하는
사람
이 많아졌기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말하고 있다.기록상으로 보아 초감각지각에 대해서 처음으로 비판적인 견해를 나타낸
사람
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다. 그는 수면 중에 나타나며, 꿈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알려진 ...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이 REG(Random Event Generator)인데,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람
이 카드를 선택할 때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천문인은 많지 않다. 또한 '별하나나 하나'를 세며 밤하늘의 정서를 만끽하는
사람
도 그 별의 실체를 정확히 감지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 양자의 부족함을 ... 일도 마찬가지. 장비가 밑받침돼야 성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다. 천문을 전공한
사람
이 아무리 많아도 대학에서 조차 쓸만한 망원경 ... ...
1992를 해부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자만 나와도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사람
이 적지 않다. 그만큼 수학은 많은
사람
에게 골치아픈 학문으로 낙인찍혀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수학알레르기 환자들을 위해 「과학동아」는 이번 호부터 계속해서 수학과 레크리에이션의 만남을 주선하고자 한다. 이 새 연재물을 통해 고질적인 ... ...
1백년전 멸종됐던 쿠아가 부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쿠아가(Quagga)가 곧 그들의 고향인 남아프리카의 초원에 다시 그 모습을 나타낼 것 같다.
사람
들을 피해 숨어있던 쿠아가가 다시 출몰한 것은 아니다. 새로 태어나는 쿠아가는 순전히 현대유전학의 힘을 빌어 탄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어둡고 윤기나는 갈색털이 등을 뒤덮은 쿠아가는 지난 1883년 ... ...
과학용어의 비과학적 사용 삼가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위한 것들인데 대개가 일본에서 그 아이디어 따온다. 조어(造語) 잘 하기로 소문난 일본
사람
들이 만들어 놓은 급조어를 아무런 중간검증 절차없이 들여와 마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 보면 이러한 신조어는 판매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내용을 잘 아는
사람
이 마구잡이 도용에 제동을 ...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평해상도는 25인치가 7백50, 29인치 33인치가 8백수준이다. 이를 시청자의 입장에서 보면
사람
의 머리카락이 올로 구별돼 보이는 수준. 9백까지도 가능하지만 이 수준은 시청자가 별로 ... CRT)이 디스플레이로서는 성능이 우수하고 경제적이어서 매우 적합하다는 데 이의를 다는
사람
은 없다. 다만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벨 연구소에서는 8fs까지 줄이는데 성공했다. 펨토초라 하는 것은 광이 3분의 1㎛로, 즉
사람
의 머리카락 두께의 1/100에 해당한다.펨토초 레이저 펄스는 고체의 원자나 분자등에서 매우 빠른 현상을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짧은 광 펄스는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아주 빠르게 일어나는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관찰로도 발견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그러나 로빈슨과 해링튼 두
사람
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행성X가 없다는 사실은 명백해진다. 즉 해링튼이 행성X가 있음에 틀림없다고 한 지역에서는 로완 로빈슨이 적외선관측기로 아무 것도 찾아내지 못한 것이다.최근의 학회에서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