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현대차, 2020년 자율주행 로드맵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옆 차가 끼어들어도 무리 없이 자율주행할 수 있는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TJA)’도 처음으로 선보였다. 현대차는 ‘2015 서울모터쇼’에서 자율주행에 들어가는 기술을 일부 공개했다. 핵심은 인공지능 기술. 레이더와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바탕으로 컴퓨터가 스스로 판단하고 차에 ... ...
- [과학뉴스]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살라사니 교수는 “도파민과 위험감수 행동과의 관계를 정확히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도파민의 불균형으로 생기는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뉴런’ 4월 9일자에 실렸다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학은 무엇보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해주니까. 기자는 상대성이론을 처음 어렴풋이 이해했을 때 느꼈던 전율을 잊을 수 없다. 세상에,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인 게 아니라니! 엄청난 가치관의 혼란을 겪으며 내가 보고 겪은 세계 자체를 의심하게 됐다. 머릿속에서 우주를 통째로 새로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아인슈타인의 접근이 틀렸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당시로선 아무도 없었고, 그 오류를 처음 알아낸 사람도 아인슈타인 본인이었다. [아인슈타인이 그로스만과 함께 일반상대성이론의 기초를 잡았던 취리히 연방공대.]아인슈타인이 오류를 극복하고 최종적인 중력장 방정식을 얻게 된 데는 수학자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유선형 디자인이 물총새의 머리 모양에서 나왔다는 건 꽤 유명한 일화다. 신칸센이 처음 개통했을 당시엔 심각한 소음 문제가 있었다. 속도가 워낙 빠르다보니 열차의 몸체와 지붕에 있는 집전장치에 바람이 부딪치면서 생기는 저항을 피할 수 없었다. 신칸센 엔지니어들은 물총새의 사냥 장면을 ... ...
- [과학뉴스] “변기 고치는 데 드는 수백억, 아낄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우승을 차지했다. 페이스북 친구인 이상민 학생과 메신저를 주고받았다.Q 축하합니다. 처음에 어떻게 아이디어를 내게 됐나요?A 우주정거장이나 유인우주선에서 쓰는 변기가 무척 불편하다는 기사를 봤어요. 관이 7cm 정도로 좁아서 대소변을 함께 볼 수 없고, 전자제품이라 고장도 잘 나고요. 저희는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학자들은 빨간약을 머금고 있다가 일정한 농도로 내보내는 소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처음엔 붕대나 거즈를 가지고 연구했지만, 좀 더 획기적인 기술이 필요했다. 2009년 미국 렌셀러 폴리테크닉대 화학생명과학부 로버트 린하르트 교수팀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를 포비돈 요오드에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파충류는 누구인가?파충류를 가리키는 ‘Reptilia’라는 표현을 처음 쓴 사람은 18세기 스웨덴의 저명한 식물학자 칼 린네였다. 그는 도마뱀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는 ‘슬금슬금 기어가는 것’이란 뜻의 라틴어 ‘repere’를 따서 이 표현을 만들었다. 그는 파충류가 양서류의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움직인다. 또 케플러-413b는 공전을 잠깐 멈추기도 했다. 연구팀이 관측을 시작한 후 처음 세 번은 공전을 하더니, 이어 800일 동안은 제자리에 멈춰 있기도 했다. 이후에는 다시 멀쩡히 공전을 했다. 이곳에서는 매일 두꺼운 코트와 짧은 반바지 중에 어떤 것을 입어야 할지 고민해야 되지 않을까.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있고 이 때문에 상당한 크기의 압력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오랫동안 깨닫지 못했다. 처음 대기압의 존재를 증명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다.토리첼리는 수은이 가득 담긴 큰 용기 위에 유리관을 거꾸로 세우면, 수은 기둥이 생긴다는 걸 보였다. 마치 누가 손으로 힘을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