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섬엽에 도착한다. 만약 가상 신호가 이 경로 어딘가에 서 끼어들어간다면? 또는 아예 처음부터 대뇌 피질 에 직접 주어진다면? 뇌는 실제 신호와 합성 신호를 분간할 방법이 없다.2030년, 나노봇이 가상현실 이끈다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할 수 없게 되는 순간이 올 까. 온다면 언제쯤 올까. 미래학자인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라는 사람 찾기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퍼슨 파 인더는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에 처음 소개됐는데, 쉽게 말해 실종자 또는 사망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 스로 구축한 것이다. 퍼슨 파인더에 찾고자 하는 이 름을 ‘search 000(이름)’ 식으로 입력하면 구글이 찾 는 사람의 정보를 수집해 요청한 ... ...
- 우주는 평평한 2차원이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우리가 3차원으로 느끼는 우주의 모든 정보가 홀로그램 원리처럼 2차원의 우주에 모두 담길 수 있다는 가설이 수학으로 증명됐다. 오스트리아 빈 공대 다니 ... 이론이 이론적으로 성립한다는 사실은 입증된 바 있지만 우주에 적용해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그야말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공학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달린 나노미터(nm․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작은 섬모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비슷한 구조를 만들면 되겠지’라는 단순한 생각으로 반도체를 가공하는 기술을 이용해 섬모를 만들었는데, 접착력이 부족했다. 다른 분야에 쓰던 공정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섬모 끝의 주걱같이 ...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경고의 의미였다. 그런데 이런 시뮬레이션은 어떻게 한 걸까?전염병 확산모델을 처음 만든 사람은 스위스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다. 1766년 베르누이는 천연두 예방접종을 실시할 경우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26년 7개월에서 29년 9개월로 늘어난다고 예측했다. 당시는 백신에 대한 개념이 없던 때라,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저 역시 우연한 기회에 재료공학을 선택하게 됐고 이차전지 연구까지 하게 됐죠. 처음엔 잘 맞는지 아닌지 몰랐지만, 계속 이 학문을 좋아하려고 하다 보니까, 정말로 좋아지게 되더라고요. ‘가장 뛰어난 사람은 그 일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이다’라는 말이 있죠? 그 말이 정답이에요.“원자로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아랫부분에 있는 반죽을 위쪽으로 밀었다. 그 결과 한 번 반죽을 밀고 반으로 접었을 때, 처음 버터의 높이 x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f(x)는 버터의 나중 높이). 아무리 늘여도 반죽은 2를 넘지 않고, 2가 되면 다시 반으로 접어 1이 된다. 이를 여러 번 되풀이하면 버터 입자들이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1점씩 올라간다. 만약 새가 파이프에 부딪히거나 땅에 떨어지면 게임이 끝나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야 한다.“자, 이 게임엔 어떤 이미지가 필요할까요?”오 교수가 독자들에게 묻자, 가장 먼저 눈에 띠는 새와 파이프가 나왔다. 게임 용어로 새를 캐릭터, 파이프를 장애물이라고 한다. 여기에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0년이 걸린다는 이야기다. 기존의 비디오 테이프보다 성능이 뛰어난 DVD 플레이어는 1997년 처음 시장에 등장했지만 2000년대가 돼서야 널리 쓰였다. HDTV,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이메일 등이 모두 출시 후 널리 쓰이기까지 10년 내외의 시간이 걸렸다. 90년대 사람들의 디지털에 대한 반감은 상상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