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볼츠만 상수를 측정한 뒤 이를 온도의 새 기준으로 못박아 버린 것이다. 한 번 정해진 상수값은 달라지지 않는다.“새 온도 기준이 나와도 물은 여전히 0 ℃에서 얼고 100 ℃에서 끓습니다. 생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새 기준을 정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영하 200 ℃보다 더 차갑거나 영상 800 ℃보다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 B의 1등급 커트라인이 만점이었다. 1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밀려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박경미 홍익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쉬운 문항을 빨리 풀고 남은 시간을 활용해 고난도 문제를 원시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전문가들은 암기 위주의 과도한 사교육을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적용해 보았더니 꽃 송이는 모두 고흐가 그린 것으로 밝혀졌어. 역시 진품 중에 진품이란 말이지! 앗, 어디선가 따르릉하고 경고음이 들린다. 드디어 괴도키드가 나타난 것 같아. 그 녀석이 여기 오기 전에 어서 그림을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겠어. 내가 고흐의 ‘해바라기’를 괴도키드로부터 지키는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계산’에서 ‘논리’의 단계로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미분의 원리가 완벽해진 이후 수학자들은 복잡한 대수적 내용을 미분을 이용해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연구했다. 임의의 함수의 도함수를 찾는 문제와 2계 미분, 그리고 보다 더 어려운 문제인 적분도 고민하기 시작했다.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특히 초속 600m의 강한 바람이 불면서 대흑점과 스쿠터, 소흑점과 같은 태풍 구름이 만들어진다. 이들 바람은 대부분 행성이 자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움직인다. 고위도 지역에서 자전과 같은 방향, 저위도 지역에서는 역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다른 행성들과는 다르다. 해왕성의 기상 활동이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찍었던 장소를 다니며 멋진 풍경 사진 찍는 법을 가르쳐준다. 밝기, 노출, 구도 등 사진 기술도 알려 주지만 무엇보다 그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그곳의 문화다. 문화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보이는 풍경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평소 그의 지론이다. 그렇기에 아직 할 일이 많다. 7년째 중국에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999년 미국 클라이넛 수부외과센터에서 미국 최초의 팔 이식 수술이 이뤄졌을 때, 의료진 가운데 한국인 의사도 있었다. 바로 우상현 대구 W병원장이다. 한국에 돌아온 이후 지금까지 국내의 팔 이식술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8월 12일, 그의 병원에서 이야기를 들어봤다.팔 이식술에 관심 ... ...
- [Fun] 영장류학자가 찾은 인류 폭력성의 기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인간은 왜 유독 서로를 죽고 죽이는 걸까.’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인 야마기와 주이치 일본 교토대 총장은 아프리카에서 유인원을 조사하며 ... 찾아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거대한 폭력의 성채를 무너뜨릴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다. 진화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찾은 해답이 자못 신선하다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전자끼리 서로 밀치는 힘이 작용해 ‘찰싹’하는 소리가 난다. 텅텅 빈 원자로 이뤄진 손바닥으로 뜨거운 햇볕을 막아 그늘을 만들 수 있는 이유도 전자기적인 상호작용 때문이다. 원자를 이루는 전자들에 의해 전자기파의 일종인 가시광선(햇빛)이 산란돼 손바닥을 뚫고 똑바로 나아가지 못한다 ...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찾았으니, 지금은 제 이름을 유지하는 데 더 관심이 많답니다.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제 신체 구조의 특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어요. 그러니까 앞으로 나올 연구 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이름이 바뀔 수 있지요.고생물학자 업처치 교수는 “최근 연구처럼 공룡을 자세히 분류한다면 훨씬 많은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