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일자에 소개됐던 두바이 인공섬인 ‘팜 쥬 메이라’ 지역과 ‘부르즈 알 아랍 호텔(위 사진)’을 볼 수 있어요. 호텔 주변에 줄지어 있는 파라솔과 바다의 물결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지요.아리랑 3A호는 적외선 센서를 갖고 있어 적외선 영상을 찍어 촬영 지역의 온도 차이도 확인할 수 있어요. ...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찾았으니, 지금은 제 이름을 유지하는 데 더 관심이 많답니다.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제 신체 구조의 특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어요. 그러니까 앞으로 나올 연구 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이름이 바뀔 수 있지요.고생물학자 업처치 교수는 “최근 연구처럼 공룡을 자세히 분류한다면 훨씬 많은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만나다!국립생태원 최재천 원장님개미학자 되어 보기 체험을 마친 명예기자들은 진짜 개미학자를 만나러 갔어요. 바로 지난 해 12월 국립생태원 초대 원장으로 취임한 우리나라의 대표 생태학자 최재천 원장님이에요. 원장님은 친구들이 왔다며 반갑게 맞이해 주셨어요.자기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쓰이고 있다.풀러렌은 1985년까지 발견되지 않았지만, 사실 ‘불’이 발견되면서 만들어진 물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어느 누구도 관심도 받지 못했다. 그러다 우연히 세 과학자를 만나, 세상을 바꾸는 물질로 거듭났다. 그리고 풀러렌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던 ...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해요.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해당 날짜를 확인하고 온라인으로 예매하면, 경복궁의 멋진 야경을 볼 수 있어요. 이제 경복궁의 처마 하나하나가 그리는 곡선도 예사롭지 않게 보이죠? 어때요, 여유로우면서도 아름다움을 간직한 경복궁을 수학의 눈으로 둘러보니, 조상들의 지혜가 느껴지나요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9월 발사됐으며, 1979년 3월 목성을, 그리고 1980년 11월 토성을 접근 통과하면서 자료와 사진을 전송했다. 보이저 1호는 현재 인간이 만든 탐사선 중에서 지구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2004년 태양권덮개(94AU 지점,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도달했으며, 2006년 8월 100AU 지점에 도달했다. 2015년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계산’에서 ‘논리’의 단계로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미분의 원리가 완벽해진 이후 수학자들은 복잡한 대수적 내용을 미분을 이용해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연구했다. 임의의 함수의 도함수를 찾는 문제와 2계 미분, 그리고 보다 더 어려운 문제인 적분도 고민하기 시작했다. ...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발견되고 있으니까요. 그 중 대표적인 게 마이크로RNA(miRNA)예요. miRNA는 핵산 22~23개로 이뤄진 아주 작은 RNA죠. 사람 몸속에 수백 개가 넘어요. 하지만 최근까지도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miRNA가 정말 많아요.그: 그중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있다는 건가요?기: 맞아요! miRNA는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상인 6.6kW급 무선전력충전 시스템을 개발해 전기차에 적용할 계획이다.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이 2014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무선충전 시장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각 산업 분야에서 무선충전이 얼마나 중요한 기술로 인식될지, 또 어떤 기술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지는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넘어지는 로봇이 부지기수였다. 기자는 카메라 가죽 끈에 그려진 빨간 줄 때문에 취재하는 내내 주의를 받았다. 색깔로 목표점과 장애물을 인식하는 로봇이 카메라 줄을 인식하고 엉뚱하게 움직일 수도 있다는 게 이유였다. 일부 로봇이 성공적으로 장애물을 인식하고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