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3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문수복 KAIST 교수 등 50人
공학
한림원 신규 정회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문수복 KAIST 교수(왼쪽) 등 학계 26명,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이사 등 산업계 및 연구계 24명이 한국
공학
한림원 2021년 신입 정회원으로 선정됐다. 한국
공학
한림원 제공 ... 47명이 됐다. 정회원은 만 65세 이전까지 가능하고 이후 심사를 통해 원로회원으로 승격된다. 한국
공학
한림원 제공 ... ...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
2021.01.05
회사를 창업하고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지석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오른쪽에서 두번째) 연구팀은 미세 입자 내부에 빛에 따라 분자가 수축하는 양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해 3차원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에 성공했다.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 ...
당신이 얼마나 아픈지 누구나 이해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우충완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
공학
과 교수와 토이 웨이거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 연구팀은 캡사이신이 유발하는 뇌 속 신호를 이용해 통증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를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이달 5일 공개했다. 몸이 ... ...
"숫자, 배우지 않아도 안다" 인공지능과는 다른 동물의 뇌
연합뉴스
l
2021.01.04
(number sense)을 타고난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뇌
공학
과 백세범 교수 연구팀은 학습 과정을 거치지 않은 신경망에서 숫자 감각이 자발적으로 생길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4일 밝혔다. 주어진 시각 정보에서 물체의 수량을 파악하는 능력인 숫자 감각은 뇌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누리호는 올해 10월 첫 발사가 예정돼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지난해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해 백신 스타트업인 휴벳바이오에 기술을 이전했다. mRNA(메신저 리보핵산)를 이용한 화이자, 모더나의 백신과 달리 유전자를 조합해 ... ...
신축년 코로나19 극복의 해 될까…치료제 여기 있'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9)을 극복할 치료제를 인간에게 선사할 것이란 기대감까지 주고 있다. 미국 생명
공학
기업 SAb 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해 11월 유전자 조작 젖소를 이용해 코로나19 항체치료제 ‘SAb-185’를 개발하는 조건으로 미국 생물의학고등연구개발국(BARDA)과 미국 국방부로부터 5750만 달러(약 625억 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막의 두께가 너무 얇아 관찰이 힘들었다. 엔리케 고메즈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재료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3차원(3D)으로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을 지도화(매핑)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투과 전자 현미경을 통해 수 nm 크기의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을 관찰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카리코 박사의 연구에 관심을 가졌고, 카리코 박사는 그 연구자와 함께 모더나라는 생명
공학
스타트업 회사에 합류하게 된다. 이후 모더나의 기술은 터키계 기업가인 우구르 사힌(Ugur Sahin)이 설립한 기업 바이오앤텍와 협력관계를 맺게 되고, 두 회사는 인플루엔자용 mRNA 백신개발에 착수했다. ... ...
한국 연구팀 ‘남극이빨고기’ 유전체 전체 세계 최초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해독하는데 성공했다. 김정훈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박현 고려대 생명
공학
부 교수 연구팀, 부경대, 국립수산과학원 등과 함께 남극이빨고기(Dissostichus mawsoni)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했다고 30일 밝혔다. 남극이빨고기의 모든 유전체를 해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극이빨고기는 ... ...
배터리 필요 없고 더 민감한 자외선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기존 센서보다 1000배 이상 민감하게 감지하는 센서가 개발됐다. 박정웅 가천대 전기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자외선에 분해되지 않고 흡수한 자외선을 전류로 바꾸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감도가 향상되고 외부 전력이 필요 없는 자외선 감지센서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