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33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금속과 산소의 결합 단단한 스마트 세상 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소자에 쓰일만 한 획기적 성능을 보이는 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 손준우 포스텍 신소재
공학
과 교수 연구실이 주목하는 산화물 소재는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주석금속과 결합하는 산화물로 투명하면서도 전자가 빠르게 움직이는 소재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나 영상용 소자에 적합하다. 타이타늄 ... ...
무거운 짐 장시간 단단히 쥐는 로봇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있는 로봇 장갑을 개발했다. 안주은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와 조규진 서울대 기계
공학
부 교수, 조성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공현식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은 센서 하나로 물건을 꽉 잡을 수 있는 로봇 장갑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근육이 수축해 힘을 내기 직전에는 ... ...
EU 모더나 백신 최종 승인…화이자 이어 두 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승인 사실을 알렸다. 우르줄라 폰데라이엔 트위터 캡처 미국 생명
공학
기업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이 화이자에 이어 두 번째로 유럽에서 최종 판매 승인을 얻었다. 이에 따라 백신 공급 부족에 시달리던 유럽 국가들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 ... ...
임산부들의 걱정 조산, 전기자극 방식 새 치료법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10월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IEEE) 트랜잭션 온 뉴럴 시스템 앤드 리허빌리테이션 엔지니어링’에 게재됐다. 조산을 화학 약제가 아닌 전기자극으로 치료하는 시도는 처음이다. 이에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이 책임연구원은 ... ...
운용 예산 83억 달러→1000억 달러 수직 상승, 미국과학재단 ‘공룡’ 기관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패티 머레이 상원의원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 제한을 반대해온 만큼 생명
공학
업계에도 규제 완화 등이 예상된다. 환경위원장이 유력한 톰 카퍼 상원의원은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여러 법안을 발의해온 만큼 위원장이 되면 올해 출범하는 신기후체제를 더욱 강력하게 ... ...
[소재의 미래]⑻이산화탄소는 에틸렌으로, 산소는 전기로…‘꿈의 전기차’ 향해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수준으로 대량 합성이 가능하도록 계속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강정구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실인 NANOSF(Nano Materials Simulation and Fabrication Laboratory)의 석박사과정 연구원들과 다 함께 실험실에 모였다. 남윤중 제공 강 교수는 배터리나 슈퍼 커패시터 등 에너지 저장기술이 ... ...
고성능 연료전지 촉매 탄화입자 개발한 김범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탄화입자 촉매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고성능 연료전지를 개발한 김범준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김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김 교수가 간단한 공정으로 높은 내구성을 ... ...
韓 태풍이 美 산불 일으켰다…전지구 기상 ‘나비 효과’ 입증
2021.01.05
산불을 일으킨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윤진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
공학
부 교수팀은 미국 유타주립대와 공동으로 지난해 여름 2주 사이에 한국을 강타한 태풍 '바비' '마이삭' '하이선'이 북진하며 고온다습한 에너지를 북쪽으로 전파한 결과 미국 서부 해안가에 고기압을 만들어 ... ...
액체금속을 전자소자 배선으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교수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액체금속 잉크와 인쇄 기술 실용화를 추진중이다. 로봇
공학
이나 인공피부, 3차원 프린팅과 접목한 응용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운룡 교수는 “기계적 손상 및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전자소자를 개발하는 게 궁극적인 ... ...
[랩큐멘터리] 몸속 번개로 암 조기에 발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개발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해 상용화를 추구하고 있다. 김철홍 포스텍 창의IT융합
공학
과 교수 광음향은 초음파 기술을 한 단계 높인 기술이다. 초음파는 소리를 기계로 만들어 보낸 다음 돌아오는 소리를 측정해 물체의 구조를 파악한다. 광음향은 초음파 대신 레이저를 쏘아 몸속에서 초음파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