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취미로 퍼즐을 즐기는 사람도 많지 않으니까요. 그게 너무 아쉬워 후배를 양성하기
시작
했어요.” 곽 주장은 직접 문제를 출제해 국가대표를 선발하고, 훈련도 시킨다. 그런데 정말 수학을 잘하면 퍼즐도 잘할까? 곽 주장은 퍼즐은 몰라도 스도쿠는 수학을 잘하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를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고스트볼X의 탄생’에서는 흑마법사의 저주로 신비아파트에 다시 귀신이 나타나기
시작
한다. 과연 신비아파트는 다시 평화로울 수 있을까? 귀신지도 속 수학 복습하기신비아파트에 사는 귀신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하리 일행을 위협하는데, 그중 하나가 수학과 관련된 함정이다. 지난 시즌에서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지원해 합격했다. 함께 사업에 뛰어들 사람도 3명 모았다. 2016년 위례신도시를
시작
으로 지금(2017년 10월 18일)은 총 16개 지역에서 74개 학원과 일하고 있다. 외판원 문제로 세림이법 지킨다그동안 학원이 버스를 나눠 쓰지 못한 건 일정을 짜는 일이 힘들어서다. 하나의 학원 안에서도 변화무쌍한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레일리 호주 시드니대 교수 등과 마요라나 페르미온 양자컴퓨터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
했다. 양자컴퓨터를 연구하는 스테이션 Q의 규모도 3배 키웠다. 박 교수는 “실제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관측과 상관없이 인공적으로 입자를 만드는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박사는 스타이츠 교수와 차를 마시다가 얻은 아이디어로 이튿날부터 새로운 연구를
시작
했다. 6개월 뒤 두 사람은 키모트립신이라는 효소의 구조와 작용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헨더슨 박사는 기자에게 그림 한 장을 보여줬다. LMB 연구원들의 공동 연구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였다. 마치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보존된 미라로 발견된 덕분이다. 기생충으로 질병 추적국내에서 미라를 연구하기
시작
한 건 1960년대부터였다.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미라가 발견됐는데, 대개는 출토복식 전문가들이 미라가 입고 있는 옷이나, 시신이 흔들리지 않게 관 속을 가득 채운 옷가지들을 복원하고 분석해 당시 의복 ... ...
[식물 속 동물 찾기] 매의 발톱을 가진 매발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있나요?5월쯤 땅에서는 봄을 대표하는 꽃인 매발톱꽃이 피기
시작
해요. 가지 끝에서 피기
시작
한 꽃은 자랄수록 아래쪽을 향해 꽃잎을 펼치지요. 수술을 둘러싸고 있는 꽃잎은 노란색을, 바깥쪽 꽃받침은 자주색을 띤답니다. 비슷한 모양에 보라색 또는 짙은 하늘색 꽃잎을 가진 ‘하늘매발톱’과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있을 확률이 높다. 아마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칠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안경을 쓰기
시작
했을 것이다. 이렇게 쉽게 짐작하는 이유는 근시가 그만큼 흔하기 때문이다. 서울에 사는 19세 남성의 96.5%가 근시라는 통계도 있다(doi:10.1167/iovs.12-10106). 근시는 대부분 태어날 때는 없다가 성장기에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때 배운 기초과목을 토대로 3학년 때는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를 스스로 찾는 것부터
시작
한다. 3학년 학생들이 5~6명씩 한 팀을 이뤄 1년 동안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 학부공동연구프로그램(UGRP·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rogram)이 대표적이다. 임진택 씨(22)는 지난해 UGRP에서 딥러닝 알고리듬을 활용해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꼭 넣어야 하는 성분이라면 더 안전한 대체 물질을 찾을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연구를
시작
해야 한다”며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해 성분표시에 누락되지 않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청결제 사용 전후 소변 분석 결과 과학동아는 20~50대 여성 6명을 모집해 이들 제품을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