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다. 2. 포항 지진 일으킨 힘, 어디서 시작됐나양산단층 주변을 뒤흔든 힘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지진은 오랫동안 큰 힘(응력)을 받은 단층이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뒤틀리면서 발생한다. 양산단층 일대를 끊임없이 괴롭힌 응력이 어디에선가 왔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태평양판에 주목한다 ...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모방하고 학습한다. 얼굴이 신분증이 되는 시대가 시작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인식 시스템인 ‘페이스ID’가 탑재됐다. 얼굴 인식 기술 개발은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두 눈 사이의 거리, 콧등의 길이 등 얼굴 부위를 측정해 이를 인식 대상의 얼굴과 비교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얼굴의 데이터가 쌓일수록 인식률은 오히려 떨어졌다.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상식적으로 기본 데이터로 초기화된 함수를 최적화하는 것이 무작위 함수에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더 효율적일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알파고 제로는 초반의 학습 효율성을 조금 포기하고, 부적절한 특징값에 의해 왜곡될 수 있는 초기화를 피했다. 그리고 학습 중간에 MCTS 방식으로 이후 승률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계속 평가를 받는다. 한편 공개 채용을 통해 새로 영입된 PI는 테뉴어 트랙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테뉴어 여부는 2년 뒤 중간평가, 다시 4년 뒤 최종평가를 거쳐 결정된다. 최종평가에서 테뉴어를 받지 못하면 즉각 연구소를 떠나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 2~3년의 유예 기간이 주어질 수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영향을 준 사건들을 소개한다. 시작은 모든 것의 기원인 ‘빅뱅’이다. 빅뱅에서 우주가 시작하고 우주에서 물질이 만들어진 뒤 물질에서 인간이 탄생하고 인간이 문명을 이룩한 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룬다. 일상에서 겪을 수 있는 친근한 이야기들을 활용해 독자 스스로 판단하고 재미있게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년이 훨씬 넘는 시간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모습에서 무언가를 느낀 게 아닐까. 보수를 시작하기 전 미륵사지 석탑은 6층까지 그 원형이 남아있었다. 그래서 ‘복원’이 아닌 ‘보수정비’를 해야 했다. 동탑은 발견된 부재★를 조사해 9층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지만, 미륵사지 석탑은 기록이 전혀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찬드라’가 빈민가 나무 아래에 아이들 몇 명을 모아 힌디어, 영어, 수학을 가르치면서 시작됐지요. 자전거 뒤에 묶인 수레에 사람을 싣고 달리는 릭샤꾼과 쓰레기를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부모들이 아이들을 나무 아래로 보낸 거예요. 대부분 공립학교 등록 비용조차 마련하기 어려운 가정의 ...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건조한 봄철, 사람의 실수가 큰 불 부른다이렇게 큰 피해를 일으킨 산불은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놀랍게도 모두 사람의 실수 때문인 것으로 보여요. 강릉과 삼척은 등산객의 실수로, 그리고 상주는 농작물을 태우다가 산으로 불이 옮겨 붙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거든요.실제로 산불의 원인은 대부분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해양 쓰레기를 집 삼아 살기 시작한 소라게들의 모습이 전세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답니다. 플라스틱을 집으로 삼으면 환경호르몬 등의 영향 때문에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어서 소라게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