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보금자리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런 방향을 취한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들은
집
을 지으면서 경사진 둔덕을 만드는데 둔덕 사이의 고랑은 우기(雨期)에 빗물이 빠져나가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의 기초조사에 따르면 사탕수수는 둔덕도 고랑도 아닌 그 중간쯤의 위치에서 가장 잘 자란다.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들은 그 속에서 신체검사를 받은 다음 차나 침실로 되돌아와서 아무 일 없었던 듯이
집
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이들의 체험은 매우 무섭고 고통스러운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매혹적인 것이기도 하다. 신학자인 루돌프 오토가 말하는 타자(other)에 의한 양면가치(ambivalence)의 누미노제(Das Numinose)의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결과 영하 3℃ 이하에서 체액이 얼어버리는 것이 확인됐다. 새끼 비단거북이 이듬해 봄에
집
에서 나올 때는 얼었던 몸이 어느정도 풀려 있는 것도 밝혀졌다.얼어있는 이들 동물은 몸을 움직이지도 않을 뿐더러 심장도 작동치 않고 혈액순환도 정지한다. 케네스 박사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사진 경력 5년 미만이 주축. 이들은 5년동안 고정급을 받으면서 5,6개의 주제만을 갖고
집
중적으로 촬영에 몰두하고 있다.웅진출판사 생태사진 개발부 김갑수차장은 "일종의 새로운 시도다. 기존 생태사진가들이 담당할 수 있는 영역도 한정되고 그 틀을 한번 벗어날 필요도 느꼈기 때문에 예전에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발견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단순히 인내였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몇지역을 자기
집
의 뒷마당처럼 자세히 알고 있다고 했다.변광성 관측/수천개까지 가능몇몇 변광성들은 너무 밝기 때문에 광학기구 없이도 그들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찰할 수 있는 숫자가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에 따른 문장의 이해, 이해가 되지 않을 때의 짜증 등 모든 정신과정은 선별적 뉴런
집
단의 총체적인 활동의 결과이다.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단위세포이며, 비 신경세포인 교세포는 뉴런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의 신경계에는 약 1천억개의 뉴런이 있으며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기술은 신통치 않다. 오소리가
집
을 비운 사이에 굴 속에 들어가서 배설물을 사방에 묻혀
집
을 더럽게 한다. 오소리는 깨끗한 것을 좋아하므로 이 굴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이사한다. 오소리가 떠나면 여우는 이 굴에서 새 생활을 시작한다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감기치료제로 너무 과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감기를 앓고 있는 사람은 되도록이면
집
에서 쉬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첫째 환자가 격리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 둘째는 안정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기증상이 10일 이상 되어도 좋아지지 않거나 평소 ... ...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달 피라미드는 그 크기가 이
집
트의 것보다 크나 높이가 2m 가량 낮을 정도다. 다만 이
집
트의 것은 묘인데 반해 멕시코 전역에 발달한 피라미드들은 제단이라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곳 피라미드의 내부에는 통로는 있으나 결코 묘소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신정정치를 통해테오티우아칸부족은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긋는다. 해가 저물어 우리에 양을 넣을 때도 아침에 그은 막대기의 눈금을 손톱으로
집
어가면서 헤아린다. 가장 오래된 셈법이 이러한 눈새김이라고 한다. 이러한 새김눈에 의한 계산법은 지금도 꾸준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선사시대의 동굴의 암굴벽화에도 단순한 미학적 만족에 앞서 포획물의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