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극과 가까운 핀란드나 러시아 같은 나라와 협력 연구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Q 최정문(사회자) 수학이나 물리학보다 지구과학을 잘해야 하나요?A 지구가 연구대상이기 때문에 지구과학이 중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는 ... ...
INTRO. 노벨과학상 2014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 10월 8일 저녁, 대전 KAIST 앞에 몰린 수많은 기자들이 탄식을 쏟았다. 올해도 한국인이 노벨 과학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논문 피인용지수를 기준으로 매년 노벨 과학상 후보를 예측하는 톰슨로이터에서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
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 ...
INTRO. Y의 몰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인간의 염색체를 나열하다 보면 유난히 (작아서) 눈에 띄는 염색체가 하나 있다. 성별을 결정하는 성염색체, Y다. Y 염색체는 처음 생겨난 이래 지금까지 점점 줄어들어왔다. 게다가 갖고 있는 유전자 중 인간에게 뚜렷이 도움이 되는 것은 생식 능력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비슷한 맥락으로 Y로 대표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사를 갈 수만 있다면 Y 염색체 역시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비교적 연구가 많이
진행
된 다른 동물로 눈을 돌려보자. 동물의 Y 염색체에는 약 200개의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수컷을 결정한다고 정확하게 확인된 것은 단 하나, SRY 유전자다(성을 결정하는 유전자라는 뜻으로 ‘Sex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만난 보안전문가들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대책은 일단 꽤 훌륭한 것 같다. 대책대로만
진행
되면 텔레그램보다 더 안전한 메신저가 될 수 있을 듯하다. 그러나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미래에는 비밀의 방마저 뚫는 기술이 나오지 않을까. 거꾸로 ‘안전해진’ 카카오톡이 범죄에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자연계에는 자연스러운 연산구조를 가진 사물들이 의외로 많다고 이미 강조한 바 있다. 이번호에서는 7월호에서 언급했던 공간 기하 그 자체의 연산을 발견한 헤르만 그라스만의 업적을 되새겨 보자.연산과 기하 과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는 직관이 놀랍도록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카메라에 담아 누가 돌아봤는지를 기록했다.잠시 후 연구자가 돌아와 게임을 마저
진행
하는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겠다며 다음 네가지 이야기 중 하나를 들려준다. 거짓말과 상관없는 옛날 이야기, 피노키오 이야기. 양치기 소년, 조지 워싱턴과 체리나무 이야기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는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연구팀은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의료진과 공동 연구를
진행
하고 있다. 정형외과에서
진행
하는 수술을 시뮬레이션해서, 수술 후 경과를 미리 알아보는 데 활용하기 위해서다.한편 애니메이션 주인공들과 휴머노이드 로봇들도 생체운동 분석 연구 덕분에 더욱 발전하고 있다. 모션캡처를 좀 더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사람의 박자도 함께 빨라졌다. 그렇게 약 7분마다 음악의 리듬이 평형을 이루면서 곡이
진행
됐다.헤닝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라이브 음악처럼 자연스러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도구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 줬다”고 평가했다. 또한 “사람들 사이에서 복잡하게 일어나는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