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자신에 의해 원자력 발전으로 실현됐다.한편에서는 핵분열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연구가
진행
되고 있었다. 영국의 물리학자 프랜시스 애스턴은 원자의 질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해 헬륨 원자 하나의 질량이 수소 원자 네 개의 질량보다 약간 작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영국의 아서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수가 없어요. 매 순간이 판단과 결정의 연속이었어요. 더구나 세계에서 거의 처음으로
진행
하는 조립공정이다 보니 참고할 자료도 없었어요.”한국을 변방에서 핵심으로 이끈 주역케이스타는 세계적으로도 깜짝 놀랄 사건이었다. 당시 한국은 서울대와 카이스트,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에서 실험실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인터스텔라는 아무리 잘 만들어졌다고 해도 분명 이야기를
진행
하기 위한 허구가 있는 SF영화다. 항성간 여행을 하는 우주선과 우주에 임시 거주지를 만들 정도로 기술이 발달했다면 지구를 살기 좋은 곳으로 개조하는 것이 더 쉬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다.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
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 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시절 이때 프로젝트를 완성해 공모전에 입상한 학생도 있다. 교내 ... ...
INTRO. 노벨과학상 2014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 10월 8일 저녁, 대전 KAIST 앞에 몰린 수많은 기자들이 탄식을 쏟았다. 올해도 한국인이 노벨 과학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논문 피인용지수를 기준으로 매년 노벨 과학상 후보를 예측하는 톰슨로이터에서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1879년 에디슨이 백열등을 발명한 이후 인류는 전기를 적게 쓰고 열이 적게 나며 크기는 작은 전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형광등은 백열등보다는 효율이 높고 열이 덜 나지만, 전기를 상당히 소모하고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않았다. 1960년대에 LED(발광다이오드)가 개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
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 ...
INTRO. Y의 몰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인간의 염색체를 나열하다 보면 유난히 (작아서) 눈에 띄는 염색체가 하나 있다. 성별을 결정하는 성염색체, Y다. Y 염색체는 처음 생겨난 이래 지금까지 점점 줄어들어왔다. 게다가 갖고 있는 유전자 중 인간에게 뚜렷이 도움이 되는 것은 생식 능력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비슷한 맥락으로 Y로 대표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사를 갈 수만 있다면 Y 염색체 역시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비교적 연구가 많이
진행
된 다른 동물로 눈을 돌려보자. 동물의 Y 염색체에는 약 200개의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수컷을 결정한다고 정확하게 확인된 것은 단 하나, SRY 유전자다(성을 결정하는 유전자라는 뜻으로 ‘Sex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모른다. 1년에 150여 종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는 지구역사상 최악의 멸종사건이 현재
진행
중이다. 현재 수많은 파충류들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협약(CITES)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잃고 있으며, 수많은 종이 암거래되고 있는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