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입장에서는 학생 수가 줄어든다는 느낌을 받을 수밖에 없다.물리는 움직이는 거야
실제
로 대학생들도 그렇게 생각할까.오동엽 씨는 최근 서강대 대학원 물리학과에 합격했다. 오 씨는 광학실험실에서 공부를 계속할 계획이다. 그의 학부 전공은 사학, 물리학은 복수전공이다. 그는 고등학교 때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렇게 만든 이랑구조의 집단 표준 생김새를 바탕으로 뇌기능유닛의 위치를 정한다.
실제
로는 100명의 MRI 영상에서 모두 손으로 이랑을 고르지는 않는다. 하나를 이랑으로 분할한 뒤 그 결과를 컴퓨터를 써서 나머지 99명의 MRI 영상으로 보내 분할해 뇌기능유닛의 확률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가까운 미래의 상황을 다룬 ‘Smart D’의 배명훈씨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바타와
실제
인간의 관계를 정교하게 다룬 ‘아바타 학교’(아동문학)의 정재은씨, 비행기 설계 과학자의 비행담을 다룬 ‘하늘을 날던 날’(논픽션)의 김상돈씨, 인간의 지식과 감정을 데이터화해서 저장하는 상황을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자신이 가입한 웹사이트의 접속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이 기억할 필요가 없다.
실제
미국의 일부 학교에서는 이미 학생들에게 반지를 나눠주고 출석과 컴퓨터 이용권한, 도서대출, 식대지출 상황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두고만 볼 수 없는 명품유비쿼터스 환경을 겨냥한 많은 액세서리들이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루프)와 같은 구조를 이뤘거나 느슨한 형태의 구조를 갖고 있으리라 예상됐다. 그러나
실제
로는 매우 촘촘한 구조였다. 염기결합도 거의 깨지지 않았다. 오직 하나의 염기쌍만 풀어지고 염기가 이중나선 밖으로 돌출되면서 오른쪽으로 돌던 나선형 DNA가 왼쪽으로 도는 지그재그 DNA가 된다.우리의 ... ...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co.kr가격 18만원.로보랩터는 백악기 공룡 ‘벨로시랩터’를 모델로 만든 로봇.
실제
공룡처럼 걷고 뛴다. 꼬리와 턱, 혀에는 터치센서가 장착돼 사람의 손길에 반응한다.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위한 보석상자겨울은 특히 건강에 유의해야 할 계절.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이들은 하얀 피부를 지키고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내놓은 적이 있다. 좋은 신발을 신고 달릴 때 발바닥이 편안하면 발에 전달되는 힘이
실제
보다 작다고 착각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수들은 더 높이 뛰어올라 부상 위험이 증가한다는 주장이다. 사실 발에는 20종의 근육이 촘촘히 결합돼 있어 맨발로도 효과적으로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성인이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별이 바로 시리우스였다. 그동안 관측기술이 발달해 핼리가 언급했던 별들의 고유운동은
실제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됐으나 시리우스의 움직임은 다른 별들과 또다른 점이 있었다. 즉 시리우스는 일정한 방향의 고유운동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마치 별이 흔들리는 듯 고유운동이 변하고 있다는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잡식성 공룡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HDTV의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특수 안경을 쓰지 않고 맨눈으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360˚ 모든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딥 필드를 관측하는데 스쿠버는 50시간이 필요하지만 이 역시 날씨가 좋아야하기 때문에
실제
로는 몇 달씩 걸린다.윤 교수는 “아즈텍을 쓰면 스쿠버가 1년 6개월 동안 관측할 것을 열흘 만에 관측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초기에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은하가 100개 정도 발견됐지만 이번 기회에 50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