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갖다 주는 것도 내 몫이야. 우주에서 돌아다니려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는데…. 으악, 태양 전지판이 찢어져 있네?! 태양 에너지를 못 쓰면 우주에서는 도대체 어떻게 돌아다니지?달 표면 탐사도 내 힘으로! 인간동력 로보발전소가 없는 우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연구 중이다.2. 건축 재료 만들기NASA에서는 오줌을 이용해 화성에서 건축 재료를 만드는
방법
을 연구하고 있다. 지구에서 데려간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오줌에 섞으면 흙을 모아 굳히는 성분이 생겨난다. 이 오줌을 화성 토양과 섞어 단단하게 굳히면 벽돌로 쓸 수 있다.3. 식량과 산소로 ... ...
[도전! 코드 마스터] 사이버테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되지요.좀비 컴퓨터를 원격조종해서 일으키는 ‘디도스(DDoS)공격’도 사이버테러
방법
중 하나예요. 디도스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줄임말이에요. 보통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망의 갯수나 디스크 공간은 한정돼 있어요. 그래서 서버에 수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접속하면 정보망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눈 내리는 크리스마스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오늘은 즐거운 크리스마스~. 그런데 섭섭박사님이 살고 있는 16차원에는 눈이 오지 않아서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전혀 나지 않는다고 해요. 섭섭박사님을 위해 멋진 눈을 만들
방법
이 없을까요? 이왕이면 녹지 않는 눈이라면 더 좋겠죠?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전해 주었지요. 이후 외래종에 의해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 민물고기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
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내년부터는 민물고기 탐사가 지사탐의 정규 탐사 프로그램이 될 예정이에요. 어벤저스도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할 내년 활동을 무척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그러면서도 탐사를 할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사람들은 새의 날갯짓을 주의 깊게 연구했고, 마침내 날개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방법
을 터득했죠. 덕분에 거대한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고, 우리는 한 시간 만에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갈 수 있게 됐답니다.비행기가 날 수 있는 건 날개가 ‘양력’이라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에요. 양력은 ... ...
Part 4. 기계와 생물의 결합,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생물들은 에너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물론 특정한 환경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
으로 이동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생물들의 능력을 본뜬 생체모방 로봇도 많이 만들어졌지요. 하지만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은 능력만 본뜨는 게 아니라 아예 생물 자체를 이용해 만든 로봇이랍니다 ... ...
[과학뉴스] 캥거루 닮은 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자란 뒤 밖으로 나온답니다.미국 사우스일리노이대 연구팀은 이 개구리의 독특한 성장
방법
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영양분과 산소가 어미의 몸에서 주머니의 얇은 막을 통과해 올챙이에게 전달되는 것을 확인했지요. 이번 발견이 더 놀라운 이유는 ‘역진화’가 일어났기 때문이에요. 이 개구리는 ... ...
[특별 인터뷰] 조재호·김문식 작가의 웹툰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갈 학원이 없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됐다고 해요. 안타까운 마음에 도울 수 있는
방법
을 찾기 시작했고, 뜻을 같이하는 만화가들과 함께 직접 그림을 가르치는 수업을 만들게 됐답니다.지난 10월 22일에 열린 수업에서는 ‘투시도’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 마련됐어요. 투시도는 그림에 원근감을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삶을 이어가고 있어요. 살아가는 모습은 서로 다르지만, 제각각 자신에게 딱 맞는
방법
을 선택해 겨울의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지요. 국립수목원의 식물도 여러 모습으로 겨울을 맞이한답니다.발 아래에서는 풀이라고 부르는 ‘초본식물’이 겨울을 보내요. 꽃향유, 쥐깨풀 같이 겨울을 나지 못하는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