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몸"(으)로 총 4,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대구과학관 웨어러블 스마트관에서 정글 탈출 체험을 하다기사 l20161205
- 보면 낭떠러지가 보입니다. 그때 실제의 낙하산도 있지만 고글 안에서도 낙하산이 있습니다. 낙하산에 앉아서 오른쪽의 손잡이를 몸쪽으로 당기면 홀로그램 영상으로는 직접 하늘을 날아 정글을 탈출하는 장면이 연출됩니다. 영상에서는 낭떠러지 밑이 폭포로 되어있어서 정말 무서웠지만 낙하산을 탈 때에는 풍경이 아름답게 나와있었습니다. 조그마한 오류가 있었지 ...
- 지문을 살펴보자!기사 l20161203
- 우리 몸에는 꼭 있는 지문! 사람마다 지문은 다 다르대요. 지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지문은 대별하면 4종, 세분하면 11종으로 분류됩니다. - 궁상문 : 궁상선으로 형성된 활 모양의 지문으로 보통궁상문과 돌기궁상문이 있습니다. - 제상문 : 융선이 흐르는 반대쪽에 3각도를 형성하는 지문으로 말발굽 모양으로 되어있습니다. 갑종제상문 ...
- 한국수달연구센터 방문기포스팅 l20161202
- 14kg 정도 , 수달의 크기는 57~70cm 정도 , 수달의 털색은 암갈색이며 배부분에는 옅은 갈색 , 턱아랫 부분은 흰색 , 수달의 몸길이는 크고 몸길이의 2/3 정도 되는 굵은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 생태계의 먹이사슬 질서를 건강하게 유지시켜주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을 "핵심종" 이라 부릅니다. 수달이 바 ...
- [5화] 넌 정말 착한 전갈?놀이터 l20161202
- 알고 계셨나요? △이미지출처: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1호 / 사진을 누르면 해당 기사(전문 또는 일부)로 연결됩니다. 전갈은 몸에 있는 형광물질이 자외선과 반응해 초록이나 분홍빛을 내는 원리라고 해요. 과학자들은 전갈이 스스로 빛을 내는 이유가 '밤눈'이 어두워서, 야간활동을 할 때 앞을 잘 보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어요! 이렇게 똑 ...
- 수달연구센터포스팅 l20161201
- 재미있게 수달에 대해 알려주셔서 집에 오면서 수달 박사가 된기분이었다. 그런데 언니가 무서웠다. 왜냐하면, 언니가 옆에서 몸길이는 몇미리 또 아저씨께서 말한는 거는 거의다 맞혔다. 그레서 무서웠다. 아빠와 같이 못와서 아쉬웠는데 원주에서 1시간 40분걸리는데 아빠와 같이 가야겠다. 아빠도 수달에 대해 궁굼해하는 것 같은데 꼭 같이 가야겠다. ...
- 엄마, 언니와 다녀온 수달연구센터기사 l20161201
- 재미있게 수달에 대해 알려 주셔서 집에 오면서 수달 박사가 된 기분이었다. 그런데 언니가 무서웠다. 왜냐하면, 언니가 옆에서 몸 길이는 몇 미리 또 아저씨께서 말하는 것은 거의 다 맞췄다. 그래서 무서웠다. 아빠와 같이 못 가서 아쉬웠다. 원주에서 1시간 40분 걸리지만 아빠와 같이 가야겠다. 아빠도 수달에 대해 궁굼해하는 것 같은데 꼭 같 ...
- 한국수달연구센터포스팅 l20161201
- 가지고 있다고 하며, 아마존에 서식하고 선생님의 말씀에 따르면 아나콘다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나는 이 수달이 이렇게 긴 몸길이를 가지고 있고 아나콘다도 먹을 수 있다고 하니 매우 놀랐다. 다음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참가 메시지를 보내면 참가할 것이다. 다음에도 참가할 수 있으면 좋겠다. ... ...
- 꿀꺽 삼키면 치료가 싹~!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1130
- 콜록콜록, 훌쩍훌쩍~! 감기에 걸려서 그런지 힘이 하나도 없고, 꾸벅꾸벅 잠만 와. 그런데 갑자기 코끝이 간질간질해졌어. 역시 재채기가 나려는 건가 했는데…, 그게 아니었어! 코끝에 작은 로봇이 서 있지 뭐야? 그런데 뭐? 내 몸 속에 들어가서 감기를 일으킨 바이러스들을 잡아 주겠다고? 으아~! 이게 도대체 무슨 일이지? ...
- 우리 몸의 뼈는 어떻게 생겼을까?기사 l20161127
- 김예나 기자입니다. 오늘은 우리 몸, 특히 뼈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위의 사진은 사람 뼈의 구조와 이름입니다. 뼈는 몇 개일까요? 어린 아이의 뼈는 약 305개 정도고, 어른의 뼈는 206여 개 정도 됩니다. 왜냐하면 자라면서 자잘한 뼈가 큰 뼈에 다 붙기 때문입니다. 뼈에 대한 궁금증을 모두 ...
- 지사탐 심화교육, 강촌천 민물고기탐사!탐사기록 l20161120
- 강촌천도 토종어류에게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지요 사진출처 - kathy park 님 풀숲을 열심히 헤치며 채집하느라 온몸에는 도깨비바늘과 같은 달라붙는 식물들이 덕지덕지 붙어있었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중이었는데 지사탐 여러분들이 모두 도와줘서 손이 안닿는 곳의 도깨비바늘들도 제거 할 수 있었어요 마치....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