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사랑 탐사대 1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과정에 열심히 참여한 친구들에게 탐사대 수료증을 드립니다!나도 탐사대원이 됐어요!
지구
사랑 탐사대 1기에 뽑힌 탐사대원들은 앞으로 세 가지 일을 하게 된답니다 ... ...
겉 다르고 속 다른 최강 포식자 ‘담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습격하는 멧돼지를 잡아먹어 개체수를 조절하는 저희의 힘은 오히려 사람 친화적이지요.
지구
에 민폐만 끼치는 닥터 그랜마야말로 저흴 좀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요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공중으로 뛰어오르기는커녕 몸을 높이 곧추세우는 일조차 어렵다. 이들을 만나러 간
지구
인은 강한 기조력을 해결하기 위해 중성자별을 공전하는 우주선 주위에 훌라후프를 두른다. 우주선을 중심으로 소행성 여섯 개를 둥그런 고리 모양으로 배치한 것이다. 먼저 지름 250km인 소행성을 지름 100m로 ... ...
공룡 멸종 원인, 소행성 충돌에 힘 실릴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월터 알바레즈 UC버클리대 교수가 1980년 처음으로 제기했다. 약 10km 크기의 소행성 충돌로
지구
가 불타면서 생긴 엄청난 먼지가 햇빛을 차단해 공룡이 멸종됐다는 주장을 펼쳤다.폴 르네 교수는 “혜성이나 소행성 충돌이 공룡 멸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이 분명해졌다”면서도 “그러나 소행성 ... ...
우주정거장에 새 식구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8일, 로보넛2가 ISS의 데스티니 실험실에서 계기판을 조작하고 있는 장면을 공개했어요.
지구
에 있는 NASA의 기술자들이 원격으로 로보넛2를 조종했지요. 로보넛2는 지금은 은퇴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타고 2011년 2월에 ISS로 떠났답니다. 로보넛2의 역할은 우주공간에서 로봇이 할 수 있는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한 번 가기 힘든 극 지점의 일상부터 바다 속의 질서정연한 행진까지, 사진 속에 담긴
지구
곳곳의 풍경을 만나 봐요. 얼음 속 물 찾기남극의 평균 기온은 - 65℃. 조금 더 따뜻하다는 북극도 - 45℃에 달하는 무서운 추위를 자랑하지요. 공중에 뿌린 물이 그대로 얼어붙는 혹독한 세계에 살고 있는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제 천문학자들은 이 현상을 이용할 수 없다. 우주여행도 달라진다.
지구
의 중력을 받지 않으니 우주선은 로켓이 없어도 곧바로 지상에서 이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큰 행성의 중력에 끌려 들어가다가 바깥으로 튕겨 나가듯 속력을 얻는 ‘스윙 바이’ 기법을 사용하지 못하게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간섭계 중력파검출기는 수평이 아닌 수직 진공 터널을 이용한다. 원자는 레이저와 달리
지구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직으로 위를 향해 쏜다. 원자끼리의 경로 차이에 따라 생기는 간섭 무늬를 관측해 중력파를 검출하는 것이다. 거울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러시아에 운석우가 떨어지고 16시간 뒤인 2월 16일. 농구장의 2배에 해당하는 45m 크기의 소행성 ‘2012 DA14’가
지구
표면에서 불과 2만 7700km 거리를 두고 초속 7.8km ... 한 나라의 힘으론 불가능하지만 세계 각국이 힘을 합친다면 외계 천체의 위협으로부터
지구
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어디에 있는지 알고
지구
를 잡아당기는 것이 아니라 태양이 이미 왜곡시킨 공간을
지구
가 지나갈 뿐이다. 아인슈타인에 이르러 중력은 기하학이 된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PART 3. 중력이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