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X와 Y가 포함되면 최대 172개의 아미노산을 생성할 수 있다. 로메스버그 박사는 “우리 연구는 생명이 살아가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가장 작은 변화이자, 최초의 변화”라고 말했다. doi:10.1038/nature2465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뻘건 장작불 속에 고구마를 던져 놓고 군고구마를 기다리는 소리, 하얀 눈이 소리 없이 우리 집 마당을 찾아올 때 추억이 만들어지는 소리…. 아름다운 시를 읽으면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진다. 최근 이런 과정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미국 뉴욕대와 독일 막스플랑크 실증미학연구소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방식은 의외로 ‘구멍’이 많다. 독일 해커그룹인 카오스컴퓨터클럽(CCC)은 2014년 우리줄라 폰데어라이엔 독일 국방부장관의 지문을 복제해 공개적으로 시연했다. 이들은 공식석상에서 찍힌 폰데어라이엔 장관의 손가락 사진에서 ‘베리핑거(verifinger)’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지문을 복제했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걸로 끝. 하지만 사실 대변의 참된 인생은 이때부터 시작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는 매일 대변을 만나면서도 그다지 친숙하지 않다. 고약한 꼴과 냄새 때문일까.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하루에 수백 만t(톤)의 배설물을 쏟아내지만, 대변의 인생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은 없다. ‘버려진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있음을 밝혔으니, 사람을 100% 따라잡을 수 없을 겁니다. 반면 우리는 다른 방법으로 증명할 수 없을까 생각하고 있겠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Part 3. 역사의 흐름을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지구는 공전한 만큼 더 자전해야 한다. 공전 속도가 매일 다르므로 1태양일도 변한다. 우리는 편의를 위해 1태양일을 1년에 걸쳐 평균을 낸 ‘평균 태양시’를 쓴다. 균시차는 실제 태양의 위치로 잰 시각인 ‘진태양시’에서 평균태양시를 뺀 값이다. 균시차는 타원 방정식과 원 방정식이 들어있는 ...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다른 박자와 다른 음의 높이로 곡을 여러 번 녹음하고, 그중 두 개의 녹음을 합쳐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곡을 만든 것입니다. 음의 높낮이와 박자를 각각 조정하는 게 불가능했던 1960년대 기술적 한계를 획기적인 방법으로 해결한 것이지요. 브라운 교수는 로버트 도슨 세인트 메리대학교 수학과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토드 웨스트비 최고경영자는 “미래엔 이 기술이 모두에게 필요해질 것”이라며 “우리는 미래 세대의 일부가 될 뿐”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모인 집단을 ‘은하’라고 해요. 지구가 있는 태양계도 ‘우리은하’에 속해 있지요. 우리은하가 밤하늘에서 띠 모양으로 보이는 것을 ‘은하수’라고 한답니다. 은하는 ‘은’을 뜻하는 ‘은(銀)’과 물이나 강을 뜻하는 ‘하(河)’가 합쳐진 말이에요. 수많은 별이 모여 밤 하늘에 은빛 강이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큰 골칫거리죠. 그렇다면 개의 이런 행동을 참고 견디는 게 좋은 방법일까요? 우리 개가 어떤 이유로 똥을 먹는지를 우선 이해해야 합니다. 질병에 의한 것인지, 사료가 잘 맞지 않는 것인지, 지루한 것인지 등 원인을 알아야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개가 마냥 지루해 한다면 ...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