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방향으로 배열돼 있었고, 버섯체의 성분이 동일한 단백질(DC0, Leo, CaMK2)로 돼 있었어요. 모든 무척추동물의 뇌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스트로스필드 교수는 “무척추동물의 동일한 뇌 구조는 약 600만 년 전 이들이 하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돼 진화했다는 것을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중요성을 깨닫고, 1919년 처음으로 포드 자동차에 안전유리를 달았다. 그로부터 10년 뒤 모든 포드 자동차 모델은 안전유리로 된 앞유리창을 달게 됐다.베네딕투스의 3중 안전유리는 유리 파편에 찔리는 부상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다른 문제가 있었다. 햇빛에 약한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출발지와 목적지를 공개키 방식으로 암호화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만약 정보기관이 모든 라우터를 장악하 고 있다면, 속에 든 내용물은 알 수 없어도 정보가 어디서 어디로 갔는 지는 알 수 있다. 그래서 토르는 라 우터의 주소를 암호화하고, 가장 빠른 길 대신 무작위 경로를 선택 한다.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NASA)이 ‘반 앨런 프로브’라는 쌍둥이 위성을 쏘아 올렸습니다. 현재까지 쓸 수 있는 모든 방사선 차폐 기술을 적용해 만든 최첨단 위성이었지요. 수명은 2년으로 설계됐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지난해 9월 설계 수명을 넘긴 뒤, 놀랍게도 지금까지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모험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그것도 세계 최초로 모든 바다(!)를 조사하기로. 여기에 더해 모든 크기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조사하겠다는 목표도 세운다. 루피(만화 원피스의 주인공) 뺨치는 이 대모험은 2007년부터 장장 6년 동안 이어졌다. 길이 22m의 작은 배에 탐험대원 14명이 타고 5만6000km를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낭만적인 사랑에 빠지면 사랑하는 사람이 세상의 중심이 되고, 그 사람이 좋아하는 모든 것이 좋아집니다. 식욕이 없어지고,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하지만 유통기한은 그리 길지 않습니다. 낭만적인 사랑은 처음 사랑이 시작될 때부터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년을 넘기지 못합니다. 이후에는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있다니 어떻게 된 일일까요? 동물들의 턱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턱에 대한 이 모든 궁금증을 풀기 위해 세상에서 처음으로 턱을 가졌던 동물부터 만나 보기로 해요.턱 세계 최초로 먹이를 물어뜯다턱은 말을 하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입의 위아래에서 움직이는 뼈예요. 하지만 곤충이나 ...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지금의 소나 돼지 만큼이나 인간에게 유용한 동물이었다. 인류는 털매머드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얻었다. 먼저 털매머드를 잡으면 온 가족 이 고기를 풍족하게 먹을 수 있었다. 한 마리를 잡으면 대략 토끼 천 마리에 해당 하는 고기가 나왔다. 25명이 한 달을 먹 을 수 있는 양이었다. 남은 고기는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원전해체기술 개발에 관심이 많지만 아직 초기인력 양성 수준”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모든 기술을 확보해야 원전을 해체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는 “고리 1호기를 만들 때도 우리나라에 아무 기술이 없었다”면서 “그때 미국이 만드는 걸 어깨 너머로 보며 원전건설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줄이는 게 최근 추세인데, ‘물 그릇 키우기’는 시대착오적인 주장이었다.더구나 이 모든 것의 중심에는 16개의 거대한 ‘보’ 건설이 있었다. 보는 원래 강이나 시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중간중간 세운 낮은 구조물이다. 하지만 4대강 사업으로 지어진 보는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하는 사실상의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