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암호문은 30글자 이상만 돼도 통계적 특성을 이용해 쉽게 풀 수 있다. 따라서 원문에서
모든
통계적 특성을 완전히 없앤 암호가 필요하다. 또는 암호가 있는지 모르게 숨겨서 해독할 생각을 못하게 하는 것도 방법이다. 스테가노그래피는 후자를 구현한 방식이다.암호는 현대 수학의 금자탑이자 각종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경쟁자와 다시 싸우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에요.개체의 수가 아주 많은 큰 무리에서는
모든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큰 무리에서는 직선적 우열순위가 나타나지 않고, 경쟁이 자주 일어나지요. 반면 작은 무리에서는 경쟁자와의 승패여부를 기억하기 쉬운 만큼 수직적인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지식과 경험이 의사의 판단에 가장 중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아직은 비용이 많이 들어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수학이 의학에 더 많이 활용될수록 더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재건 성형이 가능해질 것은 분명합니다. 머지않아 수학과 재건 성형의 도움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삶의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느껴졌던 계산은 이제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았다.하지만 계산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상상력과 창조성이 항상 바탕이 돼야 한다. 만약 먼 미래에 컴퓨터가 상상력까지 갖춘다면 어떨까? 그때도 수학의 왕좌는 인간의 차지라고 할 수 있을까 ... ...
Intro 수학은 안다 가족끼리 왜이래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행동도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결혼부터 가족관계, 족보에 이르기까지 가족에 관한
모든
비밀을 수학으로 파헤쳐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은 안다 가족끼리 왜이래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분포 모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체코의 성씨 거주 자료와도 비교했다. 그 결과 체코의
모든
성씨는 비에르고딕형이었다. 그렇다면 왜 우리나라에는 에르고딕형이 있는 걸까?우리나라의 오래된 성씨는 생긴 지 2000년이 넘으면서 결혼을 통해 성씨가 전국으로 퍼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들어진 지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전에 일본에는 이미 유럽의 ‘유클리드 기하학’이 들어와 있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모든
과학적 사고의 기본으로 여겨질 만큼 논리적인 학문이었다. 도덕성만 강조하던 유교나 불교의 지식을 벗어난 일본의 지식인들도 이 새로운 논리적 학문에 호기심을 가지고 깊게 빠져들었다.그런데 쇄국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하나요? 이신(언북초 5)A 랠리카는 경주용 자동차이기 때문에, 달리는 데 방해가 되는
모든
장치를 제거했답니다. 에어컨도 없죠. 그래서 안에 탄 운전자는 무척 더운 상태로 운전해야 합니다. 이런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차 지붕에 환기구를 만들어 공기를 순환시켜 줍니다.발길은 주변에서 흔히 볼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열 에너지로 전환돼 허공으로 날아갑니다. 때문에 에너지 보존을 생각할 땐 가능한
모든
형태의 에너지를 고려해야 합니다.소리나 열을 다시 모아 운동에너지로 바꿀 수는 없을까요? 소년이 말한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불가능합니다. 뜨거운 커피는 식지만 식은 커피가 저절로 뜨거워지지는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처럼 과학의
모든
이론은 항상 열려있어야 한다. 현재
모든
물리 이론은 ‘잠정적’인 진리의 체계다. 당장 내년에라도 뒤집힐 수 있는. 솔직히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지만.빛은 정말 빠르다. 그런 빛도 광활한 우주를 건너가려면 긴 시간이 걸린다. 지금 보고 있는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