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약 2억년 전 공룡 알 화석 속 배아 두개골 3D 복원
연합뉴스
l
2020.04.10
왼쪽부터 17%, 60%, 100% 발달단계 배아를 묘사했다. [Melanie Sarato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구
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약 2억년 전 공룡 알 속 배아(embryos)의 두개골이 3차원(3D) 영상으로 복원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 연구팀은 유럽싱크로트론방사선시설(ESRF)의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다시 100분의 1 차가운 온도인 1pK의 저온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이곳에서는
지구
중력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원자들이 보다 이상적인 형태로 응집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가장 상세한 모습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지난해 4월 최초의 블랙홀 그림자 영상을 측정한 것과 같은 방법이다. 연구팀은 “
지구
에서 달 위의 오렌지를 알아볼 수 있는 수준의 해상도”라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3C 279의 주변에서 회전하는 물질로 이뤄진 거대한 원반과, 그 중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뿜어져 나오는 두 개의 빠른 ... ...
[인간·공감·AI]② AI가 몸 속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한 자리에 모였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정서까지 보듬는 AI로봇 2월 24일 오후 광주 첨단
지구
광주과학기술원(GIST) 캠퍼스내 다산빌딩 2층에 있는 한 실험실. 세 살배기 아기만한 로봇 한 대가 실험실 한 쪽에 엎드려 있던 연구원 앞에 멈춰섰다. 로봇 얼굴에 해당하는 검은 모니터에 표시된 눈이 다소 ... ...
[뉴스페이스&뉴디펜스] 서비스업과 제조업 지형 바꿀 우주 모빌리티
2020.04.06
가까이 머무는 민간인이 하루종일 갇힌 공간에서 할 만한 일은 딱히 많지 않다. 처음에야
지구
도 내려다보고 무중력 유영도 해보겠지만 8일간 머물다보면 지루해지기 마련이다. 사실상 호텔방에 갇혀 있는 생활이나 다름없다. 여기에서도 사업 아이템이 나올수 있다. 우주호텔의 필수시설중 하나가 ... ...
[기고]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2020.04.06
없다. 그럼에도 의과학자로서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들여다 보고자 한다. 팬데믹은
지구
의 어딘가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순간에 정체를 알지 못하는 형태로 발생한 뒤 순식간에 전세계로 퍼져나간다. 일단 발생을 하면 각 국가는 물리적인 격리와 방역을 통해 병원체의 전파를 막고 그 병원체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농도가 1000ppm 정도로 높아 극심한 온난화가 발생했던 결과라고 예측해 왔다. 지난해
지구
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415ppm으로 관찰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증거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 당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금까지의 예측치보다도 훨씬 높았어야 한다고 밝혔다. 클라게스 ... ...
[잠깐과학]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4.04
위키피디아 제공 알루미늄(Al)은
지구
의 지각에서 가장 풍부한 금속 원소다. 지각 무게의 약 8.2%를 차지하는데 이는 철(약 5.6%)보다 많은 양이다. 흔한 물질을 싸게 마련이지만 알루미늄은 한때 왠만한 귀금속보다 비쌌다. 금속으로 제련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 ...
올해는 볼 기회 놓친 가장 큰 보름달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차이가 나지 않는다. 올해 가장 작게 보이는 보름달은 10월 31일 23시 49분에 뜬다. 이날
지구
와 달의 거리는 40만6394km로 2만2000km 이상 멀어진다. 천문연은 두 달의 크기는 약 14% 정도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국내 대부분 지역에선 맑은 밤하늘에서 점점 커지는 달을 볼 수 있을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인도네시아에는 플로레스인이, 필리핀에는 호모 루조넨시스가 살았다. 약 30만 년 전
지구
에는 최소 8종의 인류가 살았던 것이다. 엔리코 카펠리니 덴마크 코펜하겐대 글로브연구소 교수팀은 유럽 지역에서 발견된 친척 인류인 '호모 안테세소르'와 조지아 드마니시 지역에서 발굴된 호모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